서면 거리가 훤해졌네···김영욱 부산진구청장 "정비는 철거가 아니라 약속"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서면의 매력은 지키고, 불법은 바로잡겠다."

서면의 밤이 달라지고 있다. 불법 도로점용과 위생 문제로 논란이 이어져 온 서면 포장마차 거리가 이제 '공존의 질서'를 실험하는 현장으로 바뀌고 있다. 최근 롯데백화점 후문 일대가 넓고 환해지자 시민들은 "서면이 깨끗해졌다"며 반가움을 보인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김영욱 부산진구청장이 있다. 지난 10월부터 구청·경찰·소방서가 함께하는 합동단속반을 운영하며 무질서한 관행을 바로잡고 있다.

그러나 핵심은 '단속'이 아니라 '공존'이다. 상인·주민·행정이 함께하는 '도심공존 협의체'를 통해 상생 가능한 운영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김 구청장은 "포장마차는 도심 골목문화의 상징이지만, 시민 불편과 도시 이미지 훼손은 더는 방치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부산진구는 △공영 야시장형 푸드트럭 허가제 △보행전용 거리화 △문화공간형 워킹스테이션 등 '서면 도시정비 2.0' 모델을 추진하며, 도시재생형 정비 행정을 실천 중이다.

현장 목소리 "없애지 말고, 같이 살자"


저녁의 서면 포장마차 거리. 붉은 천막 아래 손님과 업주가 마주 앉아 웃는다. 10년째 포차를 운영하는 A씨는 "내년엔 도로점용료 330만 원 낸대요"라며, "구청장님이 '여긴 개인 땅 아니고, 위생수칙도 꼭 지켜야 한다'면서 서명지를 내미는데 사인을 안 할 도리가 있나요"라고 볼멘 표정을 지었다. 

또 다른 업주는 "번영회 회장 만나 욕 많이 먹었지만, 위생 중요하다는 말은 이해한다"며
"이 정도면 우리도 노력 많이 하는 거다"라고 체념 섞인 듯 고개를 끄덕였다.

그는 잠시 말을 멈추더니 "15년 동안 변두리 후미진 곳에서 장사하며 많이 울기도 했다"며
"서러움을 겪던 시절이었지만 손님이 '맛있다'는 말에 용기를 내 장사를 이어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방문객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경남 사천에서 온 자영업자 정성민(일품대패 사장) 씨는 "10년 만에 서면에 다시 왔는데 가격이 정찰제로 바뀌어 너무 좋다"며 "예전보다 가격이 합리적이고 분위기도 깨끗해졌다. 다음에도 꼭 오고 싶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이곳 서면 포차 거리는 구청이 권고한 규격을 준수하고, 공통 메뉴판을 사용하는데
한·영·중·일 4개 국어로 병기돼 있다. 음식 가격은 대체로 1만~2만 원대 수준이다.

사천에서 부부 동반으로 여행 온 일행은 우연히 김 구청장과 한자리에 앉았다. 이들과 함께 소주잔을 기울이던 김 구청장은 "초창기엔 하루에도 수십 통씩 빗발치는 협박성 전화와 문자를 받았다"며 "'어디파', '누구파' 조직폭력단 식구라며 겁을 주더라"고 당시의 고충을 웃으며 털어놓았다.

일행 중 한 사람(A씨·피자나라치킨공주 사남점)은 "구청장님이 시민이랑 포장마차에서 격의 없이 대화하는 걸 처음 봤다"며 "너무 소탈하고, 소상공인 입장에서도 지금 정책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내게 화내도 좋다" — 이재명式 행정과의 오버랩


이 장면은 자연스럽게 2019년 여름,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양주 석현천 계곡 불법식당 철거 현장에서 던진 말과 겹친다. "작은 불법에 눈감으면 큰 불법을 시정할 수 없다."

당시 이 지사는 업주들과 마주 앉아 생계대책을 논의했고, 필요한 안전시설과 공용영업장은 공공이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단속의 공간'을 '약속의 공간'으로 바꾼 현장 행정이었다.

2025년 부산 서면의 김영욱 구청장도 같은 자리에 서 있다. 그 역시 원칙과 사람 사이에서 타협이 아닌 균형의 행정을 택했다. 두 행정의 교차점은 명확하다.

정비의 목적은 철거가 아니라 공공의 약속, 행정의 핵심은 단속이 아니라 현장 소통이리는 점이다. 김 구청장은 "도시는 질서로 살고, 사람은 온기로 산다"며 "행정의 목적은 없애는 게 아니라 시민과 상인이 함께하는 공존의 질서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포장마차를 단순한 영업장이 아닌 도시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키겠다는 그의 구상에 시민들의 기대감이 높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면 거리가 훤해졌네···김영욱 부산진구청장 "정비는 철거가 아니라 약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