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대미 수출 주춤 속 중동·유럽 '핫플'로 부상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올해 K푸드 수출이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미국 시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여파로 주춤한 반면 중동과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10월 농식품(신선·가공) 수출액은 85억9000만달러(약 12조4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수출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중동(GCC, 20.4%↑), 유럽(EU+영국, 14.8%↑), 북미(13.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7~10월 기준 미국 시장의 수출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여파로 0.6% 증가에 그친 반면, 중동(23.5%↑)과 중화권(+7.7%↑)은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중동에서는 아이스크림(80.7%↑), 음료(80.3%↑), 소스류(33.9%↑)가 수출을 견인했다. 중화권에서는 라면(+62.9%), 조제품 기타(건강기능식품 등, 19.4%↑), 포도(122.7%↑)가 급증했다.

품목별로는 라면(5억2만달러)이 전년 대비 21.7% 증가하며 대표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뒤이어 △조제품 기타(2억5000만달러, 13.6%↑) △커피 조제품(1억3000만달러, 21.3%↑) △김치(5000만달러, 6.4%↑)가 뒤를 이었다. 

포도(50.9%↑), 아이스크림(22.1%↑) 등 3000만달러 이상 수출 품목도 고르게 성장했다. 

특히 포도는 생산량 확대에 따른 가격 경쟁력 향상과 대만 수출용 포도 사전등록제 도입 효과로 수출이 급증했다. 아이스크림은 미국·캐나다·유럽 시장에서 저지방·식물성 제품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농식품 외에도 동물용 의약품·농약·비료·종자 등 농산업 분야를 포함한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은 112억4천만달러(약 16조2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이중 농산업 분야 수출액은 26억4000만달러(7.8%↑)로 주요 품목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정부는 연말까지 정책자금 지원과 물류·통관 애로 해소, 유통매장 판촉 및 한류 연계 마케팅 등 수출기업 지원을 강화해 올해 K푸드 플러스 수출 목표 140억달러 달성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K-푸드, 대미 수출 주춤 속 중동·유럽 '핫플'로 부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