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강화 영향' 분양전망지수 1년 만에 최저치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11월 전국 주택 공급 전망이 한 달 전보다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서울과 경기 대부분 지역이 규제구역으로 묶이면서,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에 냉기가 돌고 있다는 분석이다.

6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29일까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11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2.1로 집계됐다. 전월(91.5) 대비 19.4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이 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다는 의미다.

특히 수도권의 하락 폭이 컸다. 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73.3으로 전월 대비 26.9p 급락했다. 세부적으로는 서울이 84.8(-26.3p), 경기가 69.7(-27.4p), 인천이 65.2(-27.1p)로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달 발표된 '10·15 대책'의 여파가 본격화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는 서울 25개 전 자치구와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지정하고, 대출과 세제 등 금융 규제를 강화했다. 그 여파로 매수심리가 빠르게 위축되고, 청약시장에도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

주산연 관계자는 "초강력 규제에 더해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역의 주택 수요가 크게 줄고 있다"며 "당분간 분양시장 전망은 부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지역 역시 사정이 다르지 않다. 11월 비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71.9로 전월보다 17.7p 하락했다. 울산(71.4), 강원(55.6), 충북(55.6) 등에서 하락 폭이 30p 이상으로 컸다.

분양가격전망지수(100.0)와 분양물량전망지수(79.7)도 각각 전월 대비 6.2p, 9.7p 하락했다. 반면 미분양물량전망지수는 98.5로 8.9p 상승, 향후 공급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규제 강화 영향' 분양전망지수 1년 만에 최저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