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네이버가 모든 서비스를 하나로 잇는 실행형 AI ‘에이전트 N’을 공개하며, 검색을 넘어 행동까지 연결되는 새로운 이용자 경험을 제시했다.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에서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AI 시대를 맞아 네이버는 ‘에이전트 N’을 중심으로 서비스 전반의 에이전트화를 추진한다”며 “사용자에 대한 입체적 이해, 자연스러운 사용 경험, 실행까지 연결된 생태계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사용자 경험의 진화’를 주제로 발표하며 “에이전트 N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맥락을 이해해 필요할 때 자연스럽게 제안하고 바로 실행할 수 있는 AI”라고 설명했다.
이어 “데이터 보호와 개인정보, 고객 신뢰가 핵심이며, 네이버는 가장 믿을 수 있는 AI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이전트 N은 네이버가 보유한 검색, 쇼핑, 로컬, 금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통합해 ‘검색–제안–실행’의 전 과정을 하나의 흐름으로 만드는 통합형 AI다. 사용자가 단순히 정보를 찾는 수준을 넘어, AI가 제안한 추천을 기반으로 실제 행동까지 이어지는 구조다. 예컨대 사용자가 ‘러닝코스를 추천해줘’라고 말하면, 지도와 블로그, 카페 데이터를 분석해 러닝 코스를 제시하고, 운동화를 구매하거나 관련 인플루언서를 구독하는 과정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네이버는 내년 1분기 ‘쇼핑 에이전트’를 먼저 선보이고, 2분기에는 통합검색에 ‘AI탭’을 도입해 실행형 검색 경험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단순한 검색 입력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콘텐츠와 상품을 추천하고, 구매·예약·결제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을 AI가 주도하도록 설계한다는 구상이다.
김 COO는 “이제 네이버 검색은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를 넘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선택을 제시하고 실제 행동으로 연결하는 실행형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네이버가 구축해온 서비스 생태계가 곧 에이전트 N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또 데이터 신뢰성을 핵심 경쟁력으로 강조했다. 실구매·실예약 데이터, POS 연동 재고 정보, 판매자 인증 등으로 구성된 메타데이터를 활용해 AI가 학습하고 제안하는 정보의 진위와 출처를 검증하는 구조다.
김 COO는 “신뢰성 높은 데이터 없이는 AI 에이전트 시대에 진정한 혁신을 구현할 수 없다”며 “네이버는 검증 가능한 ‘진짜 데이터’ 생태계를 기반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에이전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COO는 서비스 차원을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는 AI 전략도 제시했다. 그는 “에이전트 N이 작동하기 위해선 단일 서비스 고도화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서비스와 파트너를 하나로 연결하는 데이터·컴퓨팅 인프라가 동시에 갖춰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2026년까지 GPU 인프라에 1조 원을 투입하고, 제2사옥 1784와 세종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피지컬 AI 테스트베드’를 가동해 클라우드·제조·모빌리티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이번 단25에서 네이버가 제시한 ‘에이전트 N’은 단순한 기술 비전이 아니라 플랫폼 전략의 대전환으로 평가된다. 검색과 콘텐츠, 쇼핑 등 핵심 서비스를 AI로 통합함으로써 네이버는 이용자·창작자·광고주를 모두 포괄하는 실행형 생태계로 나아가고 있다.
김 COO는 발표를 마무리하며 “AI 에이전트 시대에는 기술보다 신뢰, 기능보다 경험이 중요하다”며 “네이버는 사람의 의도와 맥락을 가장 깊이 이해하는 실행형 AI로 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