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하나금융그룹이 디지털자산과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금융 대전환 시대를 선도한다. 그룹은 디지털금융 주도권 확보를 위해 지주 산하에 디지털자산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AI 연구 조직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을 중심으로 AI 금융혁신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하나금융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구조적 저성장 위기 극복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전 관계사가 참여하는 ‘경제성장전략 TF’를 구축했다. 이 TF는 관세피해기업 지원, 생산적 금융, 포용금융,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금융 주도, 전 국민 자산관리 지원 등 6개 분야에서 실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금융 주도 분야에서는 디지털자산과 AI가 새로운 금융 패러다임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하나금융은 기술과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금융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
함영주 회장은 “디지털자산은 금융 시장에서 자본시장과 결제 인프라 혁신의 핵심 영역으로, 그룹 차원의 대응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AI 기반 금융 인프라 혁신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 리스크 관리, 내부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등 디지털자산과 AI 두 축으로 금융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자산 전담 TF는 은행, 카드, 증권 등 관계사 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디지털자산 관련 법제화에 맞춰 상품·서비스·인프라 구축을 신속하게 추진한다.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현물 ETF, 토큰증권(STO) 등 디지털자산 분야 발전을 위한 금융기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금융소비자가 신뢰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금융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특히, 금융기관으로서 안전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준비금 관리, 실생활 연계 유통망 확보, 보안 체계 확립, AI 기술 연계, 통화·외환 관련 정부 정책 공조 등 기술·산업·정책 전 분야에 걸친 협력 체계를 우선적으로 조성한다. 그룹은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사와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관리 관련 PoC 및 연구를 진행하며 기술 역량을 축적했다. 금융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해 제도적 측면뿐 아니라 그룹의 보안 체계와 인프라 등 기술 역량을 최대한 활용한다.
또한, 외국환·자산관리·기업금융 분야 강점을 기반으로 영향력 있는 국내외 파트너와 협력해 경쟁력 있는 사업 모델을 신속히 실현할 계획이다.
AI 분야에서는 2017년 국내 금융권 최초로 은행, 카드, 증권, 보험, 캐피탈 등 계열사 IT 인프라를 통합한 통합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2018년 국내 금융그룹 중 유일한 독자적 AI 연구 조직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을 설립했다. 이 조직은 신용평가, 손님관리, 이상거래탐지 등 데이터사이언스, AI 기반 자산관리,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AI 플랫폼 등 금융 AI 주요 분야를 직접 연구하고 AI 내재화를 실행 중이다.
하나금융은 은행과 증권 등 주요 계열사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고, 특히 영업 현장 중심으로 AI 활용을 확대했다. ‘HAI 상담지원봇’, ‘악성 앱 탐지 AI 모형’, ‘AI 수출입 심사업무 자동화’, ‘AI 다국어 번역’, ‘AI 연금프로’ 등 다양한 AI 서비스가 출시됐다.
지난 10월 그룹은 2030년까지 5년간 총 100조원을 투입하는 ‘하나 모두 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과 포용금융 확대에 나섰다. 이 중 약 84조원이 생산적 금융 공급에 투입되며, AI를 핵심 영역으로 설정해 AI 생태계 조성 및 AI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AI 기반 전략적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 그룹 AI 전략의 최우선 과제다.
2026년 1월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 기본법’에 대비해 책임 있는 AI 활용을 위한 법률 검토, 가이드라인 제작, 체계적 AI 위험 관리 방안 등 AI 거버넌스도 선제적으로 구축 중이다.
하나금융은 스타트업 발굴·협업·육성 프로그램 ‘원큐 애자일랩’을 운영하며 다양한 AI 스타트업과 협업하고, 국내 유수 대학과 AI 공동연구를 위한 산학 협력도 진행한다. 지난 7월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는 등 국내외 AI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금융 AI 생태계를 선도적으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