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북극 얼음 녹으면 해류 흐름 뒤틀린다

시사위크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 연구팀은 초고해상도 지구 시스템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 인간에 의한 온난화가 해빙을 빠르게 녹여 바다의 ‘중규모 수평 교란 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사진은 남극 킹조지섬의 포터소만 빙하의 모습./ 사진=남극특별취재팀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 연구팀은 초고해상도 지구 시스템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 인간에 의한 온난화가 해빙을 빠르게 녹여 바다의 ‘중규모 수평 교란 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사진은 남극 킹조지섬의 포터소만 빙하의 모습./ 사진=남극특별취재팀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로 남극과 북극의 얼음이 빠르게 녹고 있다. 이 같은 극지 해빙 가속화가 전 세계 바다의 해류 흐름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 연구팀은 초고해상도 지구 시스템 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 인간에 의한 온난화가 해빙을 빠르게 녹여 바다의 ‘중규모 수평 교란 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중규모 수평 교란(mesoscale horizontal stirring)’은 바람, 해류, 그리고 바다 속 소용돌이 등이 만들어내는 거대한 물결 섞임 현상이다. 수십에서 수백 킬로미터 규모로 바닷물이 수평 방향으로 휘젓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열과 영양분이 퍼지고 플랑크톤이나 어란·유충, 미세 플라스틱과 같은 오염 물질 확산에도 영향을 미친다.

악셀 팀머만 단장(사진) 연구팀은 IBS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활용, ‘초고해상도 기후모델(CESM-UHR)’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CESM-UHR는 완전 결합 기후모델이다./ 사진=박설민 기자
악셀 팀머만 단장(사진) 연구팀은 IBS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활용, ‘초고해상도 기후모델(CESM-UHR)’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CESM-UHR는 완전 결합 기후모델이다./ 사진=박설민 기자

하지만 이러한 극지 해양의 변화를 직접 관측하는 일은 쉽지 않다. 특히 지구온난화가 극지역 소규모 해류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일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다. 남극과 북극이라는 지리적 한계로 관측이 제한돼서다. 뿐만 아니라 위성 관측 자료로는 중규모 해양 과정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은 IBS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활용, ‘초고해상도 기후모델(CESM-UHR)’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CESM-UHR는 완전 결합 기후모델이다. 대기–해빙–해양 구성 요소를 통합한다. 이를 통해 대기 0.25⁰, 해양 0.1⁰의 수평 해상도로 기후시스템 내 상호작용을 보다 현실적으로 재현한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현재 수준, 2배, 4배로 설정해 비교한 결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북극과 남극 연안의 바다가 더욱 거세게 요동쳤다. 온난화가 심화될수록 중규모 수평 교란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현상을 정량화하기 위해 ‘유한 크기 리아푸노프 지수(Finite-Size Lyapunov Exponent, FSLE) 유한 크기 리아프노프 지수(finite-size Lyapunov exponents)’를 활용했다. 이 지수는 가까운 두 유체 입자가 얼마나 빠르게 분리되는지를 보여준다. 값이 클수록 교란이 강화되며 해수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짐을 의미한다.

(위쪽부터) 남극해와 북극해의 중규모 수평 교란 시뮬레이션 사진. 극지의 해빙이 가속화됐을 때 전체적으로 해류가 불안정해짐을 사진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기초과학연구원
(위쪽부터) 남극해와 북극해의 중규모 수평 교란 시뮬레이션 사진. 극지의 해빙이 가속화됐을 때 전체적으로 해류가 불안정해짐을 사진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기초과학연구원

실험 결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빙의 급격한 감소가 미래 북극해 및 남극 연안 해역의 해류와 난류를 강화했다. 또한 바닷물의 수평 교란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북극과 남극에서 교란이 강화되는 원인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밝혀냈다. 북극해에서는 해빙이 줄면서 바람이 해수를 더 강하게 밀어 표층 순환류와 난류를 강화시켰다. 반면 남극 연안 해역에서는 녹은 해빙에 의한 담수 유입이 해수의 밀도 차이를 키워 해류 세기와 교란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규석 연구원은 “대륙에 둘러싸인 북극해와 남극 연안 해역의 대조적인 지리적 구조 차이는 해수의 수평 교란 변화를 결정하는 역학 과정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가져온다”며 “그럼에도 지구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두 해역 모두에서 수평 교란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준이 부산대학교 기후과학연구소 교수는 “미래 극지 해양 수평교란의 증가는 어란·유충의 생존을 포함해 극지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악셀 팀머만 연구단장은 “현재, 우리 연구단에서는 기후와 생명의 상호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차세대 지구 시스템 모델을 개발 중”이라며 “이를 통해, 극지 생태계가 지구온난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5일국제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됐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남극·북극 얼음 녹으면 해류 흐름 뒤틀린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