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압구정2구역에 로봇 친화 단지 조성...'미래 주거 혁신'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현대건설이 건설업계 최초로 ‘로봇 친화형 단지’를 조성해 미래 주거 혁신을 선도한다.

10일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에 국내 최초로 로봇과 아파트가 조화를 이루는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을 제시했다.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 '현대자동차그룹 연계 로보틱스 라이프' 이미지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 '현대자동차그룹 연계 로보틱스 라이프' 이미지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은 100년 주거 모델의 출발점이 될 압구정2구역에 로봇 운용을 고려한 단지 설계를 적용했다. 엘리베이터, 자동문, 통신망 등 단지 내 시스템과 로봇이 연동되도록 설계해 로봇이 단지 전 구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IoT 기반 관제 시스템을 통해 로봇이 층간 이동과 문 개폐를 스스로 수행하며, 단지 외부 도로에서 지하주차장, 공동현관, 엘리베이터를 거쳐 세대 현관문까지 완전 자율주행이 구현된다.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그룹사 역량이 결집돼 입주민의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로봇 솔루션이 도입된다. 피지컬 AI 플랫폼이 적용된 로봇이 단지 전역에서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입주민의 생활 파트너 역할을 한다.

단지 내에는 현대차·기아의 ‘셔클’ 무인 셔틀이 운영된다. 셔클은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으로, 실시간 승객 수요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한다. 단지 내 이동 효율을 높이고 교통 약자에게 안전한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도입된다. 소형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쇼핑 후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운반하며, 안면인식 기능을 통해 배달 사고 없이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배송한다. 향후 거동이 불편한 입주민이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할 때 안내와 이동 지원 기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입주민 안전을 위해 현대로템이 개발한 무인 소방 로봇이 배치된다. 고온과 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 가능하며,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활용해 소방 인력 진입이 어려운 화재 현장에 신속 대응한다. 이를 통해 입주민 안전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한다.

전기차 충전 로봇도 도입된다. 차량이 충전 구역에 진입하면 로봇이 충전구를 열고 케이블을 연결해 자동으로 충전을 시작한다. 충전 완료 후 케이블을 분리하고 차주에게 알림을 보내며, 충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열이나 사고 위험을 실시간 감지한다. 입주민은 별도 조작 없이 편리하게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가 주차장에는 현대위아가 개발한 발렛 주차 로봇이 적용된다. 지정 위치에 차량을 세워두면 로봇이 바퀴를 들어 올려 빈 공간에 정밀하게 주차한다.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주차가 가능해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차량 수용이 가능하다. 상가 이용객 주차 편의성도 향상된다.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을 이동,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주차 등 다양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된 최초의 도시로 구축했다.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 주거 문화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현대건설은 업계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지난 8월 준공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단지에 실내외 통합 D2D(Door to Door)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도입했다. 로봇 전문 스타트업 ‘모빈’과 공동 개발한 이 서비스는 단지 입구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세대 현관 앞까지 식음료와 택배를 무인으로 배송한다. 입주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에 로봇 친화 단지 조성...'미래 주거 혁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