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경제] "새로운 기술은 투기와 버블의 낙인을 받았지만 진화의 통과의례였고, 블록체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로 나아가는 미래의 금융, 한국에서 시작하겠습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UDC 2025’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세계적 규모와 기술력을 확보한 업비트가 K-금융의 대표주자로 앞장서겠다는 취지를 밝혔다.
UDC 2025는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으로(Blockchain, to the Mainstream)’를 주제로 국내외 블록체인 전문가, 글로벌 금융사, 정책 당국자, 투자자 등 글로벌 기업의 현업 리더들이 대거 참여했다.
오프닝 무대를 장식한 오 대표는 취임 이후 처음 공식석상에 올라 두나무의 비전과 전략을 직접 발표해 이목이 집중됐다. 그는 글로벌 금융의 핵심 화두인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글로벌 현실 금융과 블록체인을 잇는 게이트웨이"로 정의하고 , "한국도 정책적 지원만 갖춰지면 글로벌 시장에서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다"고 전했다.
첫 번째 키노트 세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 트럼프오거니제이션 총괄 부사장이 화상대담을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의 정치적 제약과 비효율을 언급했다.

에릭 트럼프는 아버지 도널드 트럼프의 정계 진출 이후 많은 은행들이 정치적 이유로 거래를 중단하려 했다는 등의 사례를 들어 디지털 자산으로 눈길을 돌리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또 국가 간 송금도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달리 몇 초면 송금할 수 있다며 디지털 자산의 편리성을 강조했다.
이어 "크립토(가상자산)는 우리 세대가 겪을 가장 큰 혁명이고, 이제 막 열리기 시작한 크립토 시대는 인터넷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면서, 지금 당장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다음으로 큰 가상자산을 갖춘 한국은 지금까지 잘해왔지만 각종 규제로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며, 오 대표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힘을 실어줬다.
두 번째 키노트 세션은 미국 의회에서 디지털 자산 친화 정책을 이끌었던 패트릭 맥헨리 전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의장이 등장했다. 그는 "미국 내에서도 디지털 자산은 정치색을 초월하는 초당적 의제가 됐다"면서, 이는 유권자들이 디지털 자산 법안 처리를 제대로 처리하라며 상·하원 의원들의 당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맥헨리 전 의장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소속 정당이었던 민주당은 디지털 자산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나, 이제는 디지털 자산 활성화를 유권자들이 먼저 원하는 만큼, 미 상·하원 전부가 디지털 자산에 친화적이라며 미래 전망도 긍정적으로 봤다.
세 번째 키노트 세션인 '금융 데이터: 전통 vs. 크립토' 패널 토론에서는 카미모토 유키 코인데스크 재팬 대표가 좌장을 맡아 한국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했다. 이 자리에는 다미앵 슐러 카이코 유럽·중동·아프리카 및 아시아태평양 영업 총괄, 진 팡 무디스 레이팅스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부대표, 유스투스 슈라이너 코인마켓캡 글로벌 사업개발 매니저가 참여했다.
여기서는 전 세계 2위 규모의 가상자산 시장인 한국의 독특한 위상과 새로운 디지털 자산 평가의 핵심 요소 등과 함께, 코인 사이클과 자본 흐름 및 전체 마켓 사이클의 종합적 분석의 필요성 등이 다뤄졌다.

한편 UDC는 두나무가 한국의 블록체인 생태계 육성과 확장에 기여하고자 2018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는 글로벌 블록체인 컨퍼런스다. 지난해까지 누적 참가자 수 약 3만명을 기록하며 글로벌 리더들과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 산업의 미래를 논의하는 장으로 성장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