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셰리 캐스크 숙성 싱글몰트 스카치 위스키 ‘더 글렌드로낙’이 21년, 30년, 40년 숙성 제품으로 구성된 고연산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을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9일 한국브라운포맨이 더 글렌드로낙 울트라 프리미엄을 출시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8일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프리뷰 행사를 열고, 브랜드 철학과 비전을 담은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날 행사는 ‘싱글몰트 위스키에 대한 기대를 한층 더 높인다(Raise Expectations Even Higher)’는 모토 아래, 한국 시장에서 확고한 존재감을 구축하겠다는 더 글렌드로낙의 의지를 선보인 자리였다.
행사장에 들어서자 21년·30년·40년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 위스키가 천천히 베일을 벗었다. 위스키의 풍미를 짙은 레드 톤으로 시각화한 공간에서, 깊은 호박빛을 머금은 병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반짝였다.

이 무대에는 마스터 블렌더 레이첼 배리가 직접 올랐다. 그는 ‘위스키 매거진’ 명예의 전당에 오른 최초의 여성 마스터 블렌더로, 현재 더 글렌드로낙 증류소를 이끌고 있다. 약 200년에 걸쳐 이어온 증류소의 역사와 셰리 캐스크 숙성 철학을 강조하며, ‘셰리 싱글몰트의 정수’라는 브랜드 정체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레이첼 배리는 “‘검은 베리의 계곡’이라는 별칭을 가진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자연은 더 글렌드로낙 원액에 그대로 녹아 있다”며 “풍부한 질감과 과실향은 싱글몰트의 진수를 보여준다”고 소개했다.
전통 발효조와 색소폰 모양의 구리 증류기 등 독창적인 제조 공정을 소개할 때는 “캐스크 숙성 철학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브랜드 정체성 그 자체”라며 “색소폰 모양의 증류기가 원액의 마찰을 극대화해 깊이 있고 복합적인 풍미를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더 글렌드로낙은 전체 생산량의 90% 이상을 셰리 캐스크에서 숙성한다.
배리는 “일반적으로 셰리 캐스크는 미국산이나 유럽산 오크를 쓰지만 우리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최고급 오크만 고집한다”며 차별성을 부각했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더 글렌드로낙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 시음이었다.
배리는 “더 글렌드로낙 21년은 스페인에서 직접 들여온 최상급 올로로소 셰리 캐스크와 페드로 히메네즈 셰리 캐스크의 정교한 조합으로 숙성돼, 부드럽고 깊이 있는 질감과 우아한 피니시를 선사한다”고 말했다.
30년은 셰리 캐스크 외에도 엄선된 아몬티야도 셰리 캐스크에서 정교하게 숙성돼 한층 복합적이고 세련된 풍미로 선보였다.
그는 “아몬티야도 셰리 캐스크는 고유의 풍부하고 매혹적인 아로마를 더해줘 더 글렌드로낙만의 정제되고 우아한 개성을 자아낸다”며 “결혼 30주년처럼 로맨틱한 순간에 마시고 싶은 위스키”라고 덧붙였다.

이날 공개된 제품 중 최고 숙성 연산인 더 글렌드로낙 40년은 스페인 안달루시아 헤레즈 지역에 위치한 보데가에서 공수한 최상급 오크통에 담겨 수십 년간 세심한 관리 아래 완성됐다.
배리는 “40년은 오크통에서 꺼낸 원액을 물로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병입 하는 캐스크 스트렝스(Cask Strength) 방식을 적용해 오크 본연의 깊이를 그대로 전달한다”며 “엄선된 캐스크와 장기 숙성이 절정의 풍미를 이끌어 냈다”고 강조했다.
더 글렌드로낙은 이번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을 통해 ‘싱글몰트의 정수’라는 이미지를 강화하고,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한층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유정민 한국브라운포맨 마케팅 상무는 “지난해 코어 레인지와 마스터스 앤솔로지 컬렉션을 통해 브랜드의 스펙트럼을 넓혔다면, 올해는 고연산 울트라 프리미엄 라인으로 브랜드 깊이를 확장했다”며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국내 소비자에게 폭넓은 위스키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