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정수미 기자] “공기업 발전 분야 통폐합은 반드시 가야할 길이지만, 인력 감축을 전제로 해선 안된다”.
강기윤 한국남동발전 사장은 8일 세종시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5개 발전 공기업(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은 각자 영역이 없어서 (통합을 통해) 관리의 집중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공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신재생, 기저발전, 원전·소형모듈원전(SMR) 등 기술을 기능별로 전문화해 선택과 집중에 나서야 한다는 설명이다.
강기윤 사장은 “재생에너지 파트는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기자재를 생산하는 곳은 중부와 남부 두 군데로 나눠 맡아도 된다”면서 “태양광, 풍력, 양수 발전 등도 서로 크로스 되고 겹치고 있어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한 군데로 모아서 관리하는 게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통폐합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전력 산업에서 민간 부문 참여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 강 사장은 “과거 대정전 이후 민간을 발전업에 참여 시켰는데 현재 43%까지 비중이 커져 (발전) 공기업이 가만히 앉아 있다가는 고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생산성 제고나 원가 절감을 위해 민영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지만, 국가 위기가 왔을 때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대해선 “재생에너지가 가야할 길은 맞지만, 우리나라는 그 속도가 너무 급하다”며 "나중에는 국민들에게 부담이 돌아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해상풍력의 경우 설치하는 데 공사비가 굉장히 많이 들어, 민간에 20~30년 동안 킬로와트시(kWh)당 450원을 약속하는 등 방식으로 보급하고 있다”며 “이 전기료를 누가 감당해야 할 지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온실가스를 2035년까지 35% 감축하겠다는 목표가 있지만, 이것을 하지 않으면 제재를 가하겠다는 국제기구가 있는 것도 아니다”라며 “중국이나 미국은 이런 부분에서 요동도 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목표도 제시했다. 강 사장은 “새 정부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에 신속하게 발맞춰 발전사 최초로 한반도를 아우르는 U자형 친환경 에너지 벨트인 ‘남동 에너지 신작로’를 제시했다”며 “석탄발전이 폐쇄되는 2040년까지 저탄소·무탄소 전원 중심의 사업구조 재편을 통해 총 설비용량 2만400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남동발전은 해상풍력을 통한 재생에너지 10GW 확보, 청정수소 혼소·전소 설비 약 7GW 구축 등을 통해 전체 발전 설비 비중 70% 이상을 신재생 전원으로 구성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