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기습번트보다 놀랍다.
6일 창원NC파크. KIA 타이거즈는 NC 다이노스를 8-4로 잡고 4연패서 벗어났다. 오랜만과 내용과 결과 모두 알찼다. 타자들이 4연패 탈출을 위해 공수에서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는 모습이 보였다. 특히 최고참 최형우가 2회 동점 솔로포에 이어 4회 1사 주자 없는 상황서 기습번트까지 시도했다.

1-3으로 뒤진 상황. 최형우로선 출루가 중요한 상황이었다. 마침 NC 에이스 라일리 톰슨의 초구와 2구가 모두 볼이 됐다. 그러자 최형우는 라일리의 3구가 높게 들어오자 갑자기 방망이를 눕혀 번트를 시도했다.
경기를 중계한 MBC스포츠플러스 한명재 캐스터, 허도환 해설위원은 물론이고, NC 이호준 감독도 웃는 모습이 중계방송 화면에 잡혔다. 허도환 해설위원은 최형우가 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 자신도 이호준 감독도 KIA 이범호 감독도 안다고 했다. 페이크가 아니라, 진짜로 번트를 대려는 마음이라고 했다.
모든 선수가 그렇지만, 최형우의 팀 퍼스트 마인드는 대단하다. 그 타석에 우전안타를 치면서 역대 최초 4400루타 주인공이 됐지만, 타격장인은 늘 팀을 위해 뛰어왔다. 자신이 안타를 못 쳐도 늘 팀만 이기면 그만이며, 팀의 미래를 위해 자신 같은 늙은이는 6~7번 타순으로 내려가야 한다고 최소 3년 전부터 말해왔다.
그런데 해당 장면에서 안타를 치는 모습을 보면, 평소의 최형우와 좀 달랐다. 최형우는 히팅포인트에 가기까지 가볍게 레그킥을 하는 스타일이다. 그러나 당시 최형우는 다리를 든 높이가 다소 낮았다. 그리고 4-3으로 역전한 5회초 무사 1,2루서 더욱 도드라졌다. 최형우는 좌완 김영규를 상대로 풀카운트서 2루 땅볼로 물러났지만, 이때 다리를 거의 들지 않았다.
허도환 해설위원은 KIA가 5-3으로 앞선 6회초 1사 만루서 최형우가 최성영을 상대할 때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그때 최형우는 역시 다리를 거의 들지 않고 끌면서 타이밍을 맞췄다. 안타를 치지 못했지만, 내야 땅볼로 타점을 만들었다. 허도환 해설위원은 “최형우가 변화구 공략과 컨택에 집중하기 위해 레그킥을 하지 않는 것 같다”라고 했다.
최형우가 늘 레그킥을 안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날도 타석마다 다리 높이가 조금씩 달랐다. 장타가 필요할 땐 다시 레그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최형우는 후반기 들어 타격감이 썩 좋은 것은 아니다. 기복이 있는 편이다. 6일 경기서 홈런 포함 2안타를 쳤지만, 최근 10경기 타율은 0.257이다. 본인의 타격감까지 감안해 시도한 변화일 수도 있다.
최형우는 이미 KBO리그에서 이룰 것을 다 이룬 선수다. 특히 타격에 관해선 ‘신의 경지’에 들어간 선수다. 정확히 2300경기서 통산타율 0.310, 416홈런 1729타점에 OPS 0.930이다. 그런 선수가 팀을 위해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막상 본인에게 그런 걸 물어보면 아무 것도 아닌 듯이 얘기하거나 적당히 농담으로 둘러대는 스타일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안다. 이 선수가 얼마나 대단한 선수인지. 올 시즌을 마치면 다시 FA다. 단언컨대 역대 40대 FA 중에서 가장 좋은 대우를 받아도 충분한 선수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