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황] 뉴욕증시, 구글 법적 우려 덜며 '혼조'…나스닥 1.02%↑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거래를 마감했다. 알파벳과 애플이 법원 판결로 불확실성을 덜고 급등한 가운데 국채금리도 안정을 찾으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회복됐다.

현지 시간으로 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58p(-0.05%) 떨어진 4만5271.23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32.72p(0.51%) 늘어난 6448.26에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8.10p(1.02%) 뛴 2만1497.73에 장을 마쳤다.

이날 알파벳과 애플이 급등하면서 기술주 전반을 끌어올렸다. 전날 미 연방법원은 법무부가 제기한 구글 반독점 소송에서 구글이 검색 시장 불법 독점 해소를 위해 법무부가 주장한 대로 웹 브라우저인 크롬을 매각할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다.

또 구글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도 매각할 필요가 없으며, 애플과 삼성 등 스마트폰 제조사 등에게 지급해 왔던 수십억 달러의 비용도 중단할 필요가 없다고 판시했다. 

에버코어 ISI의 마크 마하니 애널리스트는 "이번 일은 분명히 알파벳에 있어 (불확실성을)정리하는 이벤트로 우리는 여전히 이 종목을 긍정적으로 본다"며 "잡음은 이제 지나갔다. 이제는 펀더멘털에 집중할 수 있고, 밸류에이션도 여전히 매우 매력적이라고 본다"고 분석했다. 

크롬 매각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안도감에 주가 또한 급등했다. 알파벳 주가는 9% 급등했으며, 애플은 3.81% 상승세로 거래를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0.05%), 아마존(0.29%), 메타(0.26%), 테슬라(1.44%) 등도 상승 마감했다.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0.09%)는 약보합을 보였다.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한 미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는 주가가 20% 급등했다. 

이날 발표된 7월 구인건수는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구인 건수는 718만1000건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해 9월 710만3000건 이후 가장 적고, 시장 전망치(740만건)도 하회했다. 

전날 급등했던 국채금리는 빠르게 안정을 보였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 국채 금리는 5.7bp 하락한 4.22%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금리는 3.7bp 내린 3.62%를 가리켰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6%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1.62달러(2.5%) 내린 배럴당 63.97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11월물 브렌트유는 전장 대비 1.54달러(2.2%) 밀린 배럴당 67.6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주요 산유국의 원유 공급 확대 전망과 미국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겹치며 원유 선물 가격이 하락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회원국으로 구성된 OPEC플러스(+)는 7일 회의를 열어 추가 증산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증산 기조가 이어지면 원유 수급이 느슨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매도세를 불렀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로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는 전일 대비 0.64% 오른 5325.01로 거래를 마쳤고,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86% 오른 7719.71로 거래를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 대비 0.46% 오른 2만3594.80에 거래를 마쳤고,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일 대비 0.67% 오른 9177.99로 거래를 마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외시황] 뉴욕증시, 구글 법적 우려 덜며 '혼조'…나스닥 1.02%↑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