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진 회장 "금어기 해제 직후 꽃게 풍년…수협,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필요"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수협중앙회(회장 노동진)가 금어기 해제 이후 일주일간 집계한 꽃게 위판 실적을 발표한 결과, 지난해 가을철 급감했던 꽃게 어획량이 올해는 평년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금어기 해제 이후 일주일간 전국 수협 회원조합의 꽃게 위판량은 총 134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77톤)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최근 10년 평균(777톤)과 비교해도 563톤 늘어난 수치다.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 1kg당 평균 단가는 5603원으로 지난해보다 1222원 상승했다. 다만 최근 10년 평균 단가인 6761원보다는 다소 낮았다.

지역별로는 충남권 수협의 위판량이 472톤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수협은 222톤을 기록해 전국 수협 중 최대 위판 실적을 올렸다. 군산시수협 역시 36톤에서 191톤으로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예측한 "서해 저층 냉수 세력 확장으로 인한 어장 밀집과 어획 효율 증가"분석과도 일치하는 결과다.

반면, 서해 남단에 위치한 영광군수협은 어장 분산의 영향으로 위판량이 11톤에 그쳐 지난해(161톤)보다 150톤 감소했다. 최근 10년 평균(51톤)보다도 40톤 줄어든 수치다.

수협 관계자는 "이번 꽃게 풍어가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어업인의 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통 안정화와 자원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수온 변화와 기후변화로 어장 환경이 매년 크게 달라지고 있다"며 "안정적인 수산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노동진 회장 "금어기 해제 직후 꽃게 풍년…수협,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