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 미래 성장동력 법제화 속도냈다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경상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위원장 이선희)가 제12대 후반기 출범 이후 43건의 조례안을 처리하며 지역 현안 해결과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입법 활동에 속도를 냈다. 특히 이 중 23건은 의원 발의로 추진됐다.

경북도의회 기회경제위원회가 지난 6월 24부터 26일까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신산업육성 방안 모색을 위한 '강원테크노파크'를 현지확인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경상북도의회(포인트경제)
경북도의회 기회경제위원회가 지난 6월 24부터 26일까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신산업육성 방안 모색을 위한 '강원테크노파크'를 현지확인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경상북도의회(포인트경제)

기획경제위원회는 경북의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했다.

먼저, '경상북도 제약·백신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경북도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이는 2030년 약 3조8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제약·백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건립과 같은 관련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경상북도 디지털의료제품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체계적인 육성 기반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ICT융복합 어린이 재활기기 실증센터 구축 등 관련 사업을 통해 2027년 54조 6천억 원 규모로 성장이 전망되는 국내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대규모 발전소 중심의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소비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분산에너지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경상북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이는 전력망 한계를 개선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 지역 경제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다.

경북도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에 적극 대응해 5월 포항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는 성과를 냈다.

특화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데이터센터와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유치에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경상북도 에너지사업육성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개정해 분산에너지 관련 사업도 지원할 수 있도록 기금의 활용 범위를 확대했다.

기획경제위원회는 산업 성장을 위한 환경 조성에도 힘썼다. '경상북도 산학융합지구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해 산업 현장에서 인력 양성, 연구개발, 고용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했다.

경북에는 이미 구미·칠곡과 경산에 산학융합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 기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도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경상북도 인공지능 윤리기반 조성에 관한 조례'를 마련했다.

이는 딥페이크 등 AI 악용 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계획 수립과 윤리 헌장 제정 등의 제도적 장치를 담았다.

이선희 위원장은 “기획경제위원회는 앞으로도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신산업 육성 기반을 확립하는 데 힘쓰겠다”며,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도민의 삶과 직결된 정책을 발굴하고 실질적인 입법과 정책 지원으로 지역 현안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 미래 성장동력 법제화 속도냈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