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무주택가구 1000만 눈앞" 절반 이상이 수도권 집중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전국 무주택가구가 1000만가구에 근접하면서 '집 없는 세대'가 사회 전반 구조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가운데 서울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무주택가구 비율이 절반을 넘기며 2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가구는 961만8474가구다. 전년(954만1100가구)대비 약 7만7000가구 늘어난 수치로, 전체 가구(2207만가구) 43.6%에 해당한다. 이는 2020년 900만가구를 넘어선 이후 2년 만에 950만 가구를 돌파하며 1000만가구 시대에 성큼 다가섰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만 506만804가구가 몰려 전체 절반을 넘어섰다. 이중 경기 지역(238만2950가구)이 최다를 기록했으며, 서울(214만3249가구)이 그 뒤를 이었다. 수도권 인구 집중 및 주거 수요가 무주택가구 증가세를 더욱 뚜렷하게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은 전체 414만1659가구 가운데 무주택가구가 214만3249가구에 달해 비율이 51.7%를 차지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무주택가구 비율이 50%를 넘어선 지역은 서울이 유일하다. 

지난 2021년 51.2%를 기록한 서울은 이후 △2022년 51.4% △2023년 51.7%로, 2년 연속 상승세다. 이외 나머지 16개 시도는 대부분 보합 내지 하락세를 보였다.

관련 업계에서는 이런 '서울 나홀로 현상' 요인으로 집값 격차를 꼽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서울 주택매매가는 16.1% 상승했지만, 비수도권은 1.7% 하락했다. 장기간 누적된 가격 격차가 자가 마련 진입 장벽을 높이면서 무주택 상태를 고착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전국적으로 무주택가구 증가세가 이어지고, 특히 수도권‧서울 집중 현상은 청년과 고령층 주거 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이 크다.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한 무주택가구 비율은 구조적으로 줄기 어렵다"라며 "공공임대 확대, 청년 맞춤형 주거 대책 등 다각적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국 무주택가구 1000만 눈앞" 절반 이상이 수도권 집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