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리박스쿨' 역사 왜곡 사실상 '방치'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최근 극우 성향 단체로 알려진 '리박스쿨'이 사용한 늘봄강사 양성교육 교재에서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는 등 명백한 역사 왜곡 내용이 드러나면서, 교육계와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이 교재가 광주·전남 지역 일부 학교에까지 버젓이 비치된 사실이 알려지자 학부모와 시민들의 분노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논란은 단순한 도서 문제를 넘어, 최근 일부 세력들이 내란을 미화하거나 친일·독재 정당성을 주장하며 역사 인식을 뒤틀려는 움직임과도 맞물려 있다. 

리박스쿨은 그동안 특정 정치적 이념을 주입한다는 의혹을 받아왔고, 이번 사건은 그 우려가 현실로 드러난 사례라는 평가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이런 교재가 활용됐다는 점에서 파장은 더 크다.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사태가 알려지자 즉각 사과하고, 역사 왜곡 도서가 학교 현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도서 심의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해당 도서에 추천사를 쓴 현직 교사들의 명단을 확보해 작성 경위와 대외 활동을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대응 속도와 의지가 분명히 드러난 조치였다.

반면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의 태도는 달랐다. 광주시교육청은 역사 왜곡 도서 3권이 비치된 A초등학교를 지도·점검했고, 해당 학교가 8월 7일자로 도서를 폐기했다고만 발표했다. 문제는 여기서 사실상 조사가 끝났다는 점이다.

A초등학교는 도서 선정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며, 특정 교사가 사업비로 문제의 도서를 구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광주시교육청은 그 교사가 어떤 명분과 계획으로 책을 구매했는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했는지조차 파악하지 않았다. 교육청의 기본 책무인 '지도·감독' 기능이 사실상 작동하지 않은 셈이다.

더 심각한 것은 역사 왜곡 도서에 실명으로 추천사를 작성한 광주지역 중학교 교사 2명의 존재다. 이들은 당시 서로 다른 학교에 재직 중이었으나 현재는 같은 학교에서 부장교사와 학교운영위원 등 중요한 보직을 맡고 있다. 

그럼에도 광주시교육청은 이들에 대한 조사나 경위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 역사 왜곡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된 교사가 현직에서 중책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책 몇 권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정치·이념 편향 자료가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위험을 보여준다.

특히 최근 내란 세력을 미화하거나 특정 역사적 사건을 왜곡하려는 시도가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는 상황에서, 교육당국의 무관심과 미온적 대응은 결국 그 시도를 방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시민사회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시교육청은 '리박스쿨' 도서 구입 및 추천사 작성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정선 교육감은 이번 사태에 대한 명확한 입장과 재발 방지 대책을 즉각 발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육의 중립성과 역사적 진실은 단 한 번의 방심으로도 훼손될 수 있다. 교육청이 이번 사건을 단순 행정 절차로 끝낸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과 미래 세대가 떠안을 것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광주시교육청 '리박스쿨' 역사 왜곡 사실상 '방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