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 쇼크… 연준, ‘기준금리’ 인하 임박했나

시사위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재개 시점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 AP·뉴시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재개 시점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 / AP·뉴시스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재개 시점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고용시장 악화 상황을 고려해 오는 9월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빅컷(0.5%p 금리인하)’ 가능성까지 제기됐지만 섣부른 기대라는 분석도 있다.

◇ 고용쇼크 딛고 뉴욕증시 반등… 강해진 금리인하 기대감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일제히 반등 마감했다. 이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85.06포인트(1.34%) 오른 4만4,173.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1.93포인트(1.47%) 상승한 6329.94로 장을 마쳤고 나스닥지수는 403.45포인트(1.95%) 오른 2만1,053.58에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전 거래일인 지난 1일(현지시각) 급락세로 마감한 지 하루 만에 회복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지표가 예상치보다 부진하게 나타나면서 급락세를 보인 바 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7월 비농업 일자리는 7만3,000개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시장 예상치(10만개)를 크게 하회한 수치다. 아울러 지난해 월간 평균 일자리 순증치(16만8,000개)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실업률은 4.2%로 전문가 예상에 부합했지만 고용 지표는 예상치를 하회한 셈이다. 

이 같은 ‘고용쇼크’에도 뉴욕증시가 빠르게 회복세를 보인 것은 금리인하 기대감이 강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은 2022년 3월부터 시작한 긴축 통화정책을 끝내고 지난해 9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세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 올해 들어서는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해왔다. 지난 1월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시작으로 3월, 5월, 6월, 7월 회의까지 5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이 이뤄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강한 금리 인하 압박을 가해왔지만 연준의 기조는 굳건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경제 및 물가에 미칠 불확실성을 우려해 동결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풀이됐다. 

제롬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통화정책에 신중론을 유지해왔다. / AP·뉴시스
제롬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압박에도 통화정책에 신중론을 유지해왔다. / AP·뉴시스

다만 최근 고용지표 악화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기준금리 인하 재개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9월 금리인하 가능성↑… 빅컷 기대감은 글쎄

시장에선 다음 FOMC 회의가 열리는 오는 9월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선 한 번에 금리를 0.50%p(퍼센포인트) 인하하는 ‘빅컷’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을 단행한 전례가 있다.

다만 빅컷 인하까지 기대하기엔 이르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문다운 한국투자증 연구원은 “연준은 9월 고용 하방 리스크를 경계하며 인하를 재개하겠으나 연속적인 금리 인하 및 빅컷을 고려하기는 이르다”며 “노동시장의 추세적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이번 지표에는 트럼프 정책 효과 및 통계적 부정확성 등으로 일시적 노이즈가 너무 크다”고 평가했다. 

이어 “신규고용을 제외하고 실업률의 세부 요인과 확대된 임금상승률을 보면 더더욱 고용 쇼크로 보기는 어렵다”며 “더불어 연초 이후 실업률 상승 중 일부는 노동시장 수급 균형 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실업률 증가도 포함돼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4분기에 관세의 효과를 반영하며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근원 물가도 연준의 빠른 금리 인하를 막는 요인”이라며 “반대로 연준의 인하를 앞당기는 요인은 실업률이다. 특히 민간부문의 실직을 중심으로 실업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경기침체 우려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격하게 확대될 경우”라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은 국내 기준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국내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가계부채 증가 상황과  한미간 금리 격차 등을 고려해 동결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분석됐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美 고용 쇼크… 연준, ‘기준금리’ 인하 임박했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