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구글이 정부의 정밀 지도 반출 결정을 앞두고 보안 우려를 의식한 듯, 민감 시설을 가린 위성사진을 구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도 반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구글이 공개 해명에 나선 것은 이례적이다.
5일 구글은 블로그를 통해 “구글 지도가 한국에서만 길찾기 기능을 제공하지 못해 외국인 관광객의 불편이 크다”며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해결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반출 요청 배경을 설명했다.
구글은 이번에 요청한 데이터가 1대1000 축척의 고정밀 지도가 아니라, 보안 심사를 마친 1대5000 국가기본도라고 주장했다. SK티맵모빌리티 등 국내 서비스도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위성사진과 관련해서는 “구글 지도에 쓰이는 위성 이미지는 외부 전문 업체가 촬영해 오픈마켓에서 판매하는 것”이라며 “민감 시설을 가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원본 소스 이미지 자체를 가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와 함께 해당 방식으로의 구매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오는 8일 관련 협의체 회의를 열고 구글의 지도 반출 요청 건을 심의할 계획이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된 상황에서 논의가 다시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구글은 2011년, 2016년에도 지도 반출을 요청했지만 모두 불허됐다. 이번에는 미국 정부가 플랫폼 규제와 지도 반출 이슈를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지목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어, 정부 판단이 주목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