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태반 염증이 아이 ‘천식’ 부른다

시사위크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팀이 임신 중 발생한 염증이 태반을 통해 태아의 스트레스 반응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같은 스트레스 조절 영향으로 면역세포 T세포의 생존과 기억 능력이 증가해 아이가 태어난 후 알레르기 반응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생성형 AI로 제작한 이미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팀이 임신 중 발생한 염증이 태반을 통해 태아의 스트레스 반응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같은 스트레스 조절 영향으로 면역세포 T세포의 생존과 기억 능력이 증가해 아이가 태어난 후 알레르기 반응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생성형 AI로 제작한 이미지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국내 연구진이 태반 내 염증이 태아의 면역 체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출산 후 아이가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소아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의 조기 예측과 예방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팀이 임신 중 발생한 염증이 태반을 통해 태아의 스트레스 반응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같은 스트레스 조절 영향으로 면역세포 T세포의 생존과 기억 능력이 증가해 아이가 태어난 후 알레르기 반응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모체 염증 반응이 소아의 알레르기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기전 모식도./ KAIST
모체 염증 반응이 소아의 알레르기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기전 모식도./ KAIST

이흥규 교수팀은 임신 중 과도한 염증을 유발한 생쥐 실험 실험을 진행했다. 면역계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독소 성분인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생쥐에게 주입해 몸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도록 만드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실험 쥐에는 태반에도 염증이 발생했다.

염증이 일어난 쥐의 태반 조직을 분석한 결과, 염증 반응으로 인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라는 신호 물질이 증가했다. 이 물질은 ‘호중구’라는 면역세포를 활발하게 만들면서 태반에 염증성 손상을 일으킨 것으로 확인됐다. 호중구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비율(40~75%)을 차지하는 백혈구다. 선천 면역에 중요한 역할과 체내로 침입하는 박테리아나 진균 등을 제거한다.

(왼쪽부터)  KAIST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권명승 박사./ KAIST
(왼쪽부터)  KAIST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권명승 박사./ KAIST

이 손상은 태아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호르몬(글루코코르티코이드)이 많이 분비되면서 태아의 면역 체계에 중요한 변화를 유도했다. 그 결과, 태아의 T세포(면역 기억을 담당하는 세포)가 더 오래 살아남고 기억 기능이 더 강해졌다.

특히 이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기억 T세포는 출생 후 항원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다. 실제로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겐’을 생쥐의 기도에 노출하자 알레르기와 천식 반응에 중요한 면역세포가 증가하는 강한 호산구성 염증 반응과 면역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됐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신 중 엄마의 염증 반응이 태반을 통해 태아의 알레르기 면역 체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것”이라며 “앞으로 소아 알레르기 질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과 예방 전략 마련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뮤코잘 이뮤놀로지(Mucosal immunology)’에 지난 7월 1일 자 게재됐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엄마의 태반 염증이 아이 ‘천식’ 부른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