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현대로템(064350)이 8조9814억원 규모의 폴란드 K2 전차사업 2차 이행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앞서 현대로템은 지난 1일 폴란드 군비청과 65억달러 규모의 폴란드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을 맺었다고 밝힌 바 있다. 폴란드 K2 전차 긴급소요분 180대를 우선 공급하는 1차 이행계약에 이은 후속 계약이다. 현지 기술이전과 생산을 함께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계약에는 폴란드 K2 전차(K2GF MBT·Main Battle Tank) 추가 물량 116대와 최초 양산되는 폴란드형 K2 전차(K2PL MBT) 64대, K2 계열(구난·개척·교량) 전차 81대, 폴란드군 유지보수정비(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서비스·교육, 기타 탄약·수리부속 예비품 등이 포함됐다.
이번 계약 성사에는 꾸준히 양국 신뢰를 다져온 우리 정부의 전방위적 수출 외교 리더십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그동안 정부는 관계 부처간 다자 외교 채널을 가동, 국제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양국 방산 협력의 중요성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해왔다.
이번 계약을 기점으로 폴란드에서의 첫 현지 전차 양산이 개시되는 만큼, 폴란드와 지상무기체계 공동 개발을 위해 향후 폭넓은 파트너십을 구축이 예상된다. 이번 계약에서 PGZ 산하 방산 업체인 부마르(Bumar)는 폴란드형 K2 전차, 계열 전차의 현지 생산을 담당한다.

폴란드형 K2 전차는 현지 요구사항을 K2 전차에 적극 반영해 개량한 최신형 첨단 무기체계다. 전차의 방호력을 끌어올려 탑승자를 보호하고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임무수행 능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주요 사양으로는 적군의 대전차 유도 미사일과 드론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하드킬(Hard-kill) 방식의 능동방호장치(APS·Active Protection System)와 전파를 교란해 드론의 정상 가동을 막는 드론 재머(ADS·Anti-Drone System)가 있다. 여기에 원격사격통제체계(RCWS·Remote Controlled Weapon System)가 탑재되고, 성능이 개선된 특수 장갑이 적용돼 방호력도 더욱 높아진다.
또 이번에 선보이는 3종 계열 전차는 모두 기존 K1 전차가 아닌 K2 전차를 플랫폼으로 새롭게 채택해 강화된 출력과 향상된 임무수행 장비가 적용된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7월 폴란드 군비청과 K2 전차 1000대 공급에 대한 기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다음 달인 8월 폴란드 K2 전차 긴급소요분 180대에 대한 1차 계약을 맺으며 사상 첫 한국형 전차의 해외 수출을 이뤄냈다.
이후 공장 효율화 작업과 인력 재배치 등 신속한 출고를 위한 사전 준비를 진행한 끝에 계약 후 약 3개월 만에 폴란드 K2 전차 10대를 초도 인도하는 등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유례없는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폴란드 K2 전차는 1차 계약분이 올해 말까지 모두 인도되면 곧바로 2차 계약분 양산이 시작된다. 현대로템은 전차의 원활한 현지 운용을 돕기 위해 향후 폴란드군 뿐만 아니라 현지 방산 업체에도 MRO 기술을 폭넓게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현지 방산 업체들과 더욱 긴밀하고 광범위한 파트너십을 통해 폴란드가 유럽의 K2 전차 생산 허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한민국의 전차가 폴란드의 안보와 평화를 수호하고, 현지 방위산업 발전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최근 부마르 공장을 방문해 생산시설을 둘러본 뒤 "대한민국 K2 전차가 현지에서 생산되는 것을 목도하니, 세계로 뻗어나가는 우리 K-방산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