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DL이앤씨(375500)가 2분기 실적에서 '영업익 287.5% 급증'이라는 반등에 성공했다. 건설업 전반에 있어 경기 침체 및 이익 방어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에서 원가율 관리와 수익성 확보 전략을 통해 실적 회복 본궤도에 진입한 분위기다.
DL이앤씨는 잠정 실적을 통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9914억원 △영업이익 1262억원 △영업이익률 6.3%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무려 287.5% 급증한 동시에 영업이익률 역시 4.7%p 개선되면서 본격 턴어라운드를 입증했다.
DL이앤씨 '분기 영업익 1000억원대'는 2022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특히 건축원가 상승, 미분양 부담 등으로 업계 전반이 부진한 가운데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수익성 개선 핵심은 '원가율'이다. DL이앤씨에 따르면, 2분기(연결 기준) 원가율은 87.3%로, 최근 3년 사이 최저 수준이다. 이는 2022년 2분기(87.2%) 이후 최저치로, 4분기 연속 90% 미만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구조적 개선 신호'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무엇보다 주택사업 부문 수익성 반등이 눈에 띈다. 특히 주택 원가율(지난해 93.0%→87.2%)이 5.8%p 하락하면서 전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재무지표도 업계 내 최상위 수준을 입증했다. 2분기 말 기준 △현금‧현금성 자산 2조496억원 △순현금 1조153억원이다. 이는 대형 건설사 중 최고 수준 현금성 유동성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부채비율 96.0% △차입금 의존도 10.6%에 불과하다. 신용등급도 2019년부터 7년 연속 'AA-(안정적)'를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 리스크가 불거진 경쟁사들과 대비되는 재무 안정성이 가장 강력한 방어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관되게 추진한 수익성이 확보된 사업 중심 선별 수주 전략을 통해 9626억원 상당 신규 수주를 달성했다.
무리한 외형 확장 대신 △리스크 관리 통한 원가율 개선 △풍부한 현금 유동성 확보 △보수적 수주 전략 등이 모두 맞물려 '작지만 강한' 실적 회복을 이뤄냈다는 게 업계 시선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이지만, 어려운 업황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2분기 실적으로 이어졌다"라며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탄탄한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수익성이 담보된 양질 신규 수주를 이어가면서 하반기에도 실적 향상세를 더욱 본격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