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진주시는 최근 시청 공무원을 사칭하고 업체에 물품 계약을 빙자해 구매대행과 선금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사례가 연이어 신고됨에 따라 시민과 업체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그들이 핑계로 대는 것은 빨리 구매를 해야 하는데 시간이 촉박해서 문서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특정업체의 계좌번호를 불러준 후 구매대행을 위해 송금해주면 그 비용까지 한꺼번에 결제하겠다. 당연히 특정업체의 계좌번호는 사칭범들의 대포통장이다.
구체적인 사례로 진주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인물이 가짜 명함과 위조 공문을 제시하며 숯판매업체에 참숯 구매를 구실로 접근, LED 경관 조명기구의 구매대행을 요구했다. 하지만 구매대행 요청을 수상히 여긴 업체가 이에 응하지 않아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분업체를 대상으로 구매대행을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보유하지 않은 특이한 화분을 대신 구매해 달라면서 대포통장인 특정업체 계좌에 송금할 것을 요구했으나 화분업주가 응하지 않아 미수에 그쳤다.
또 진주시청 팀장의 이름을 도용해 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 '타올 납품 요청'이나 '심장제세동기 납품 허위 주문' 등의 방식으로 물품 구매와 선금 요구를 시도한 사례도 확인됐다.
여기 더해 계약담당부서 공무원을 사칭하고 수의계약 알선 명목으로 관내 업체에 접근해 여름 휴가비를 요구하기도 하는 등 범죄 수법도 다양했다.
진주시의 확인 결과, 사용된 문서에는 실제 시청 직인과 유사한 위조 직인이 날인돼 있었으며, 최근 다른 지자체에서 발생한 '공무원 사칭 물품 구매 사기'와 동일한 수법인 것으로 파악됐다.
진주시 관계자는 "진주시의 모든 계약은 정식 절차에 따라 진행하며, 민간업체에 결제나 구매대행을 요구하는 일은 절대 없다"며 "이와 유사한 전화나 방문이 있을 경우 절대 응하지 말고, 반드시 해당 기관에 먼저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경찰서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