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Z7 보조금 최대 ‘95만원’ 껑충.. 단통법 폐지 효과는 ‘글쎄’

마이데일리
서울 마포구 삼성스토어 홍대에서 시민들이 갤럭시 Z폴드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Z7 시리즈 출시와 단통법 폐지가 맞물리며, 통신 3사는 보조금 규모를 일제히 확대했다.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을 합해 최대 95만원에 달하는 파격 조건이 등장했지만, 혜택은 일부 유통 채널에 집중되며 시장 전체로의 확산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는 갤럭시 Z 플립7과 폴드7에 대해 공시지원금 최대 50만60만원, 추가지원금 최대 7만5000원을 책정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상한선이 사라지자 일부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서는 총 90만95만원의 보조금이 적용됐고, 출고가 148만5000원인 플립7을 20만원대 초반에 구매할 수 있는 조건도 등장했다.

보조금 규모는 확대됐지만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단통법이 폐지된 지난 22~26일 닷새간 발생한 번호이동은 총 9만5233건으로, 평소보다 증가하긴 했지만 ‘전면 경쟁’이라 부를 정도의 확산세는 아니었다.

폐지 당일인 22일에는 3만5131건으로 전날 대비 3배 이상 급증했지만, 이후 25일과 26일은 각각 1만3142건, 1만4076건에 머물며 상승 탄력이 꺾였다. 삼성전자 갤럭시 Z7 시리즈가 공식 출시된 시점임에도 추가적인 반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업계에선 “보조금 확대에 따른 일시적 반응은 있었지만, 시장은 여전히 관망세이며 국지적 경쟁에 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시내의 한 휴대폰 대리점에 단통법 폐지 관련 홍보물이 붙어 있다. /뉴시스

삼성전자와 통신사들은 단말기 할인 외에도 다양한 프로모션을 병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갤럭시 워치8 할인권과 OTT 구독권을, KT는 구형 단말 반납 보상과 요금 할인 혜택을, LG유플러스는 상품권과 AI 서비스 무료 이용권 등을 제공 중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튜디오’ 체험존 운영과 함께 저장용량 업그레이드, 구독형 서비스 결합, Google AI Pro 무료 제공 등 번들형 혜택을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 체감 혜택은 요금제에 따라 다르게 작동한다. 월 12만원 이상 고가 요금제 이용자는 선택약정 할인과 추가지원금 조합으로 80만원 이상 절감이 가능하고, 중저가 요금제 이용자에겐 공시지원금 중심의 할인 조합이 실익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보조금 확대로 인한 시장 활성화에는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다. 스마트폰 제조사 간 경쟁이 사실상 삼성전자와 애플 중심으로 재편되며 가격 인하 여력이 줄었고, 5G 보급률이 이미 70%를 넘긴 상황에서 신규 요금제 전환이나 번호이동 유도도 쉽지 않다.

유통점별 자율 경쟁이 확산되며 마이너스 보조금까지 재등장했지만, 위약금 체계는 더욱 복잡해져 소비자 혼선도 우려된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번 보조금 확대는 단통법 폐지와 신작 출시가 겹치며 나타난 일시적 현상에 가깝다”며 “지속 가능한 경쟁 환경을 위해선 알뜰폰 활성화, 유통 채널 다양화, 보조금 지급 구조의 투명성 확보 같은 제도 보완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갤럭시 Z7 보조금 최대 ‘95만원’ 껑충.. 단통법 폐지 효과는 ‘글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