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취임 후 첫 현장 행보로 21일 서울바이오허브를 찾아 ‘AI 바이오 국가전략’ 수립을 예고했다. 기초과학 기반의 인공지능(AI) 융합 생태계 조성을 통해 신약 개발과 개인 맞춤형 의료 등 바이오 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배 장관은 이날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주요 바이오벤처를 방문하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AI 바이오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 간담회에선 연구개발(R&D) 투자,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바이오 데이터 개방, 규제 개선, 융합 인재 양성 등 전 주기 지원 체계가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배 장관은 “AI는 단순한 연구 보조가 아니라, 연구자들의 진정한 파트너”라며 “AI와 바이오가 결합하는 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역시 “첨단 바이오에 AI를 결합해 R&D 성과를 가속화하겠다는 장관의 강한 의지가 담긴 행보”라고 설명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남진우 한국연구재단 차세대바이오단장은 AI 바이오 기술의 글로벌 트렌드와 활용 사례를 소개하며, 데이터 중심의 기술개발이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AI 바이오 기술개발, 데이터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등이 포함된 국가 로드맵을 이르면 하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다.
배 장관은 “AI 기반 바이오 기술은 신약 개발뿐 아니라 기후 변화, 식량 문제 같은 글로벌 이슈 대응에도 핵심 도구가 될 것”이라며 “AI 융합이 과학기술 전반에 혁신을 유도하도록 정부 차원의 전폭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