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한민족의 명산인 금강산(金剛山, Mt. Kumgang - Diamond Mountain from the Sea)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됐다.

현지시각 13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회의에서 북한 측이 신청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다. 위원회는 금강산이 독특한 지형과 경관, 불교의 역사와 전통, 순례 등이 얽혀 있는 문화적 경관으로서 가치가 크다고 판단했다.
금강산은 북한의 강원도 금강군·고성군·통천군과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현내면, 수동면에 걸쳐있는 산으로 태백산맥에 속한 높이 1638m의 산이다. 강원도 속초시와는 약 50km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예로부터 국내외에 아름답기로 유명해 많은 예술가들의 그림속 풍경의 대상이 되어 왔다. 위치에 따라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며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해 생태·자연 자원의 보고로도 꼽힌다.
유네스코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측은 지난 2021년 금강산의 등재 신청서를 냈으나, 당시 코로나19 방역 상황으로 평가가 이뤄지지 못했고 올해 대상에 포함됐다. 금강산은 등재 신청한 지 약 4년 만에 선정됐으며, 이번 등재로 북한의 세계유산은 3건이 됐다.
북한은 '고구려 고분군'과 '개성역사유적지구' 등 세계유산 2건과 인류무형문화유산 5건을 보유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집권 후에 문화유산 정책에 매우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세계유산이 된 금강산을 외화벌이'의 수단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세계유산에 등재되면 관광 자원으로 개발하고 국제기구로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개별관광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아서다.
한편, 12일에는 선사시대 유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등재를 추진한지 15년 만의 일이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 제285호 반구대암각화와 국보 제147호 천전리명문 암각화(옛 명칭 천전리각석)를 아우른 것으로 전 세계 암각화 중 서른여섯 번째 세계유산이 되는 것이다. 한국은 아시아권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선사인이 남긴 암각화를 세계유산에 등재시킨 국가가 됐다.

이날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반구천의 암각화와 금강산이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한다"며 "우리 민족이 담지하는 여러 전통문화가 세계인들에게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서 남북의 문화유산이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더욱 뜻깊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 정세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남북 간의 교류는 안타깝게도 이십여 년 가까이 멈춰있다"며 "금강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기점으로 경색된 남북관계가 개선돼 다시금 남북한 스님들이 신계사에서 함께 모여 부처님께 기도 올릴 날을 기다리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금강산은 민족의 영산이자 한국불교의 성지"라며 "'화엄경'의 담무갈보살이 주처하시는 곳이며, 일만이천봉 하나하나마다 불보살님이 상주하시는 한국불교의 상징"이라고 금강산의 의미를 짚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