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당초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던 25% 상호관세의 관세율은 유지한 채 부과 시점을 뒤로 미룬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개한 무역 관련 서한에서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면서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겨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이 서한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했다.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관세 25%와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이유에서든 한국이 미국에 대한 관세를 올리기로 결정한다면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이라며 보복 관세 부과에 대해 사전 경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국과의 무역에서 큰 적자를 내고 있어 관세 부과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25%라는 숫자는 우리가 당신의 국가와 가지고 있는 무역적자의 차이를 없애는 데 필요한 것보다 턱없이 작다는 점을 이해하기를 바란다"면서 "당신이 관세를 얼마나 올리기로 선택하든 우리가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피하려고 제3국을 경유하는 방식으로 환적한 제품에는 2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대통령실은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에 나선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1시 30분 한미 통상 현안 관계부처 대책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김 실장 외에 대통령실에서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제3차장 및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이 참석한다. 관계부처에서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 차관이 각각 자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발송으로 인한 상황 변화 여부를 비롯해 대미 관세 협상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에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