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삼성전자(005930) 최대 노동조합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의 조합원 수가 최근 3만명 아래로 내려앉았다. 지난 3월 임금·단체협약 타결 이후 불거진 '이면 합의' 논란과 집행부 전원 사퇴 등 조직 내분 여파가 수치로 확인되면서, 노조의 안정성과 교섭력 약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전삼노의 조합원 수는 2만994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총파업을 단행하며 3만명을 돌파한 지 1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전삼노는 지난해 임금 인상률 상향, 유급휴가 약속 이행, 초과이익성과급(OPI) 기준 개선 등을 요구하며 전면 총파업에 돌입했고, 이 과정에서 단기간에 가입자가 급증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러나 올해 3월 체결된 2025년 임금·단체협약을 둘러싼 이면 합의 논란이 결정적 분기점이 됐다. 당시 협약의 골자는 평균 5.1% 인상(기본 3.0%, 성과 2.1%)이었으나, 이후 일부 상임집행부가 사측과 별도 합의를 통해 성과인상률을 더 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조합원 이탈이 가속화됐다.
조합원 수는 3월 3만6000명대를 기록한 뒤 약 4개월 만에 6000명 이상 급감했다. 책임을 통감한 3기 집행부는 임기를 9개월가량 남기고 전원 사퇴했고, 현재 전삼노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전삼노는 여전히 삼성전자 전체 임직원(약 12만5000명)의 23%를 차지하며 최대 노조 지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올 하반기 예정된 내년 임금 협상에서 과거와 같은 조직적 동력을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노조는 집행부 공백을 최소화하고 조기 체제 정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당초 9월로 예정됐던 제4기 임원 선거는 이르면 7~8월 중으로 앞당겨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