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기업은행(024110)이 한국산업의 버팀목인 '제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약 24조원을 공급한다. 미국 관세 부과와 유럽 탄소세 등이 예고된 상황에서, 타격이 불가피한 국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중소기업대출(이하 중기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54조5000억원이다. 지난 2월 250조원을 돌파한 지 약 2개월 만에 4조5000억원이 증가했다.
앞서 기업은행은 올해 중기대출 공급 목표를 전년 대비 4조원 증액한 64조원으로 설정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국내 제조업의 핵심인 '소재·부품·장비사업(이하 소부장)' 기업에 가장 큰 24조원이 공급된다. 뒤를 이어 창업기업 지원과 혁신성장 영위기업 지원에 각각 20조원, 15조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현재 소부장 업계는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쓰나미와 같은 거센 충격이 예고돼 있다. 소부장의 중간재는 상당수가 다른 국가에서 조달된다. 최근 주요국의 관세 부과가 급변하면서, 가격 상승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중국에서 수입한 중간재로 완성한 제품도 미국이 중국산으로 간주할 경우, 우리나라 기업의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업계의 불확실성은 이뿐만이 아니다.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CBAM은 현재 수출기업에 탄소배출량 보고의무만을 부과하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탄소배출량이 많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추가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 또한 수출 단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향후 충격에 대비해 국내 소부장 분야는 수입선 다변화·국산화와 탄소 배출 저감 설비 등 시설 투자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기업은행이 제조업에 24조원의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나선 셈이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대내외 경기가 불확실한 최근 상황에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자금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추가 발굴해 금융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들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제시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 이 컨설팅은 중소·중견기업이 어려워하는 효율적인 배출량 산정과 탄소중립 목표 수립 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담당자가 사전 정보자료 검토와 현장 방문 등을 거쳐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어 감축 목표를 수립한 뒤 기업에 이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적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공인 기관으로부터 인증도 받은 상태다.
김인태 기업은행 부행장은 "신뢰도 높은 진단평가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영환경에 최적화된 개선이행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타 기관과 가장 큰 차별점"이라며 "공급망 대응 평가가 시급한 대기업 협력 중소기업과 수출기업에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