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정다혜 학생, 후각 연구로 '국제학술대회'국내 유일 수상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DGIST(총장 이건우)는 뇌과학과 정다혜 석박통합과정생(지도교수 문제일)이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IC-KDA & ASAD 2025’ 국제학술대회에서 ‘Young Investigator Award’를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DGIST 정다혜 석박사통합과정생, 문제일 지도교수.사진=DGIST(포인트경제)
사진 왼쪽부터 DGIST 정다혜 석박사통합과정생, 문제일 지도교수.사진=DGIST(포인트경제)

해당 학술대회는 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치매·신경퇴행성 질환 분야 국제 행사로, 올해 수상자는 중국, 일본, 홍콩, 한국에서 각 1명씩 선정됐으며, 정다혜 학생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정다혜 학생은 알츠하이머병 초기 징후를 ‘후각’에서 포착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연구팀은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환자의 뇌를 분석해, 냄새를 맡는 뇌 영역인 ‘후각망울’과 ‘후각피질’에서 이미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단백질)이 쌓이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이 부위에 면역세포(미세아교세포, 성상세포)가 활성화되며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것도 함께 밝혀 냈는데, 이는 알츠하이머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부터 후각 관련 뇌 영역에서 병의 신호가 감지된다는 것이다.

후각 기능은 치매보다 먼저 저하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동안 뇌과학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정다혜 학생은 이번 연구를 통해 후각계가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초기 신호를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했다.

정다혜 학생은 “후각을 통해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며 “신경퇴행성 질환을 더 깊이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본 연구는 교육부의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DGIST는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융합 연구와 혁신적 인재 양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DGIST 정다혜 학생, 후각 연구로 '국제학술대회'국내 유일 수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