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부동산은…" NH투자증권, 전망 보고서 발간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NH투자증권(005940)은 '부동산 공약 분석 및 대선 이후 전망–새 시대, 익숙한 불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6월 조기 대선에 앞서 부동산 시장의 방향성을 전망한다.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정책을 분석한 결과 세 후보 모두 주택 공급 확대와 정비사업 활성화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 청년·신혼부부 등 실수요자 중심 정책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했다. 

단, 추진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재명 후보는 공공 중심 도심 개발 및 균형발전, 김문수 후보는 규제 철폐와 지방 권한 강화, 이준석 후보는 민간 중심 공급과 실용적인 제도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을 차이점으로 꼽았다.

보고서에는 이전 정권의 부동산 정책과 시장 흐름을 설명하고 현재의 부동산 현상 분석내용도 담겼다. 

부동산 시장이 정책 기조만으로 설명되지 않고 대내외 경제 여건, 금리 등 시장 구조적 특성을 함께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역사적으로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팬데믹과 같이 금리, 수급, 경기 사이클 등 거시적 변수는 정책만큼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연구위원(NH WM마스터즈 전문위원)은 "이번 대선에서는 후보 간 부동산 공약의 방향성이 비슷한 만큼,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통상 환경, 금리 인하 시점, 강남·용산 등 주요 규제지역의 해제 여부, 그리고 수급 여건이 시장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흐름 속 중장기적으로 서울과 수도권은 정비사업 가시화 지역 중심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지방은 광역시 및 산업기반 지역을 중심으로 점진적 회복을 나타낼 것으로 보고, 구조적으로는 1주택 중심 고가 자산 집중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향후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강남·용산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지속 여부(9월 30일 지정 연장 여부)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2~3차례 인하 전망) △공급 확대 공약의 현실화까지 필요한 시간과 정비사업 기대수요 △지방 부동산 시장의 선택적 회복 기대 등을 제시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해소와 건설경기 회복 기조가 일부 회복 흐름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정유나 NH투자증권 부동산 책임연구원은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보다 지금은 불확실성에 대한 막연한 우려보다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실수요자와 투자자 각각의 전략을 재정립할 시기"라고 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대선 이후 부동산은…" NH투자증권, 전망 보고서 발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