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권성동 사퇴 주장한 까닭

시사위크
권성동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이 지난 17일 오후 제주시 도두일동 제주오일시장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시스
권성동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이 지난 17일 오후 제주시 도두일동 제주오일시장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후보 강제 교체’를 주도한 권성동 원내대표가 유세 현장에서 야유를 받고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해당 사태로 권영세 의원이 비상대책위원장에서 사퇴했지만 권 원내대표는 직을 유지했다. 박 의원은 ‘친윤(친윤석열)’인 권 원내대표가 대선 이후 전당대회를 고려해 자리를 보전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유세를 다니면 권성동 원내대표에 대한 우리 지지자들의 비판 여론이 상당히 많다”며 “권 원내대표의 (사퇴) 용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지난 19일 페이스북에서 “‘커피 120원 원가’로 이재명 비판하는 것보다 김문수 후보를 사기꾼으로 몰면서 바꿔치기 위해 별의별 꼼수를 다 동원했던 권성동 의원이 물러나는 게 훨씬 더 많은 표를 만들어 낸다고 확신한다”고 직격했다. 

이어 “현장에선 온통 ‘권성동 물러나라’는 말뿐”이라며 “김 후보는 당원이 지켰다. 김 후보의 당선을 위해 오늘이라도 사과하고 사퇴하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당대회를 통해 김문수 후보가 선출되자 즉각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단일화’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협상에 난항을 겪으면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통해 김 후보의 후보 자격을 박탈했다. 

후보 등록 마감 직전인 지난 10일 새벽 2시경 한 전 국무총리의 입당과 후보 등록 절차까지 진행됐다. 이에 친한(친한동훈)계 측에선 절차적 정당성을 잃었다며 “친윤 쿠데타”라고 반발하기도 했다. 당내 비토에도 권영세-권성동 지도부는 후보 교체 마지막 절차로 ARS를 통해 당원들의 ‘한덕수 국민의힘 후보’ 찬반을 취합해 정당성을 더하려 했다. 

그러나 지도부의 예상과 달리 ‘반대’에 손을 든 당원이 많아 해당 사태는 수포로 돌아갔다. 권 비대위원장은 해당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지만 권 원내대표는 직을 유지하며 김 후보의 유세를 돕고 있다. 

박 의원은 “현장에서 권성동 원내대표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고 야유나 이런 것들이 유세 현장에서 쏟아지는 것도 절차적 민주주의를 무시한 그 결과”라며 “이분이 선대위원장으로 있다 보니 당당하게 우리가 ‘민주적 정당이다’ 이렇게 주장하면서 표를 요구하는 정당성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권 원내대표가 사퇴 요구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게 차기 당권을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비대위체제이기 때문에 선거 이후 전당대회를 통해 당 대표를 뽑아야 한다”며 “권 원내대표는 그동안 국민들로부터 지적받았던 친윤의 상징적인 인물처럼 돼 있다. (선거) 이후에 전당대회가 있으니까 감안해 전략적인 선택을 한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박정훈, 권성동 사퇴 주장한 까닭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