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한의약진흥원은 지난 15일 서산의료원(충남 서산시 소재)에서 '한의약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보건복지부, 한국한의약진흥원, 서산의료원, 충청남도한의사회 및 서산시한의사회 등 관계자 14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공립의료기관 내 한의과 설치 확대 등 한의약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서산의료원이 시행 중인 건강돌봄 사업과 한의약 건강돌봄 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산의료원은 현재 총 17개 진료과(영유아야간진료센터 포함)를 운영하고 있으나 한의과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충남 유인도서 원격 건강관리모형 개발사업 △만성질환관리사업 △시니어 효(孝) 검진사업 △장애인·다문화 건강증진사업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사업 등 다양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활발히 운영 중이다.
정태길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과장은 "현재 전국 국공립의료기관 중 한방진료과목이 설치된 기관은 30.8%에 불과하며, 공공의료 내 한의약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히며, "중앙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한의과 설치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간담회에서는 특히 '취약계층 건강돌봄 지원사업'과 'AI 돌봄전화 기반 일차의료 협력사업' 등과 같이 지속적인 건강관리와 지역 연계가 필요한 사업의 ‘한의약 건강돌봄 시범사업’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한국한의약진흥원 이지현 의료지원센터장은 "공공의료기관 내 한의약의 역할 확대는 만성질환 예방, 고령 환자 건강관리, 일차의료 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지역 기반 건강돌봄 서비스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생애말기 돌봄에도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한의약 기반의 생활습관 개선, 심신 안정, 예방중심 건강관리 기능이 기존 의료원 사업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했다.
서산의료원 김영완 원장은 "공공의료는 단일 기관의 노력만으로 완성될 수 없으며,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서산의료원은 앞으로도 한의약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지역 주민의 의료수요를 충족하고, 지속 가능한 공공의료 모델을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공공의료 내 한의약의 포괄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실무적 논의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