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 발표…"영남 산불피해지 집중관리"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산림청은 지난 1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이미라 산림청 차장 주재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관리 △위험정보 제공방식 개선 △장마철 총력 대응 △수요자 맞춤형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을 핵심으로 한다.

특히,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남 산불 피해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산불 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 위험등급 및 영향 범위를 긴급 조정하고, 이를 '산사태 정보시스템'에 반영했다. 이 정보는 대피소,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과 대피 경로 마련 등 선제적 대피체계 정비에 활용된다.

또한,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과거 대형산불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1~48시간 전에 예측하는 모델을 보완했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 누락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산불 피해지역 중 민가와 100m 이내에 위치해 2차 피해 우려가 있는 6466개소에 대해 긴급 진단을 실시하고, 이 중 복구가 필요한 615개소를 선정해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를 추진한다. 이 중에서도 2차 피해 위험이 높은 279개소에 대해서는 6월15일 이전까지 응급 복구를 완료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위험정보 제공 대상을 기존보다 확대해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및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부서 등 총 229개 부서를 새롭게 연계했다. 또한, 기존 문자메시지 중심의 정보 전달을 '알림톡'으로 전환해 보다 신속한 주민 대피를 유도한다.

이와 함께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여름철 산사태 현장 대응 인력으로 투입하고, 재난관리 자원을 총동원하는 대응체계도 가동한다.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및 홍보도 강화된다. 오는 6월까지는 어린이·청소년 대상 산사태 안전교육 교재(팝업 퍼즐, 워크북 등)를 개발하고, 9월까지는 학교 등에서 찾아가는 예방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주민이 직접 산사태 예방시설 설치를 신청할 수 있는 '사방댐 대상지 공모'를 오는 8월29일까지 진행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 피해지역의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태풍과 집중호우 등 위험 시기에는 긴급재난 알림을 받는 즉시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산사태 예측과 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림청,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 발표…"영남 산불피해지 집중관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