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주요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차이가 8개월째 확대됐다. 일부 은행의 경우 예대 금리 차를 공시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로 벌어졌다.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 하락에 속도가 붙은 데 반해 대출금리 하락은 더딘 상황이 이어진 영향이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정책서민금융 상품은 제외한 수치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간의 격차를 의미한다.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이자장사를 통한 마진(이익)이 그 만큼 많다는 뜻이다.
은행연합회가 관련 공시를 시작한 지난 2022년 7월 이후 최대 예대금리차를 기록 중인 곳도 잇따랐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는 공식 집계가 존재하는 2년9개월 중 최대를 기록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 2023년 1월(1.51%p) 이후 2년2개월 만에, 우리은행은 2023년 2월(1.46%p) 이후 2년1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확대됐다. 농협은행도 2023년 12월(1.71%p) 이후 1년4개월 만에 최대다.
은행권 평균 가계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8월(1.30%p)부터 8개월 연속으로 확대된 상태다. 지난해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늘고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이 대출수요 억제 방안을 주문했고, 은행권이 이를 반영해 대출 가산금리를 상향 조정한 영향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영향 등으로 가계 대출이 늘며 앞으로도 예대금리차가 빠르게 줄어들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43조84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말 738조5511억원 대비 5조337억원이 늘었다. 지난해 9월(5조6029억원)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토허제 재지정으로 인해 가계 대출이 늘어난 영향으로 현재 대출 가산금리를 낮추는 것은 부담"이라며 "이달에도 예대금리차를 뚜렷하게 줄이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