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위기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여성가족부는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되는 통계조사다. 지난 2021년 첫 조사가 이뤄진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 조사는 위기 청소년 지원기관 이용경험이 있는 전국 9세~18세 청소년 4,62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20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위기 청소년의 33%는 지난해 최소 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조사(26.2%) 대비 6.8%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청소년(40.5%)이 남성 청소년(25.6%)에 비해 우울감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시도해본 적 있는 위기 청소년은 8.2%로, 2021년(9.9%) 대비 1.7% 감소했다. 하지만 자해를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21.5%로, 같은 시기 대비 2.8% 증가했다.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는 ‘심리불안’(37.3%)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의 갈등(27%) △학업문제(15%) △선후배‧또래와의 갈등(8%) △미래에 대한 불안(7%) 순으로 조사됐다.

은둔 경험이 있는 위기 청소년은 25.8%였으며,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한참이던 2021년(46.7%)에 비해 소폭 감소한 수치다.
또 가출 경험을 해봤다고 답한 위기 청소년은 27.7%로, 2021년(32.6%) 대비 감소했다. 집을 나오게 된 주된 이유로는 ‘가족과의 갈등’이 69.5%로 가장 높았다. △자유로운 생활(34.3%) △가정폭력(26.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위기 청소년들이 희망하는 지원 서비스로는 ‘일자리 제공’(77%)이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계속해서 △경제적 지원(74.9%) △직업교육훈련‧자격증 취득(74.6%) △각종 질병 치료(72.1%) △다양한 청소년 활동 참여 기회(70.1%)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상담1388’과 전국 24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자살‧자해 및 학교폭력 등 위기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위기청소년안전망시스템을 통해 교육부‧복지부‧경찰청‧병무청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활성화해 위기 청소년 발굴도 확대할 예정이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