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청남도의회 정광섭 의원(태안2·국민의힘)은 지난 18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태안지역의 소나무재선충 확산, 도유림 국립공원 편입으로 인한 주민 피해, 안면도 관광 인프라 부족 등 지역 현안에 대해 "충남도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먼저 태안 전역에 급속히 퍼지고 있는 소나무재선충 피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그는 "지금 태안은 길가 곳곳에 고사목이 늘어서 마치 가을 단풍처럼 보일 정도"라며 "외지인은 아름다운 경관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주민들은 산림 붕괴와 산불 위험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1월은 방제의 최적기임에도 예산 부족으로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며 "15개 시군 중 피해가 가장 심각한 지역에는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즉시 고사목을 제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고사목 방치가 산불의 ‘불쏘시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재난 예방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효과가 떨어지는 단기제 방제약을 사용하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며 "단기제 사용은 매년 같은 문제를 반복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장기제 방제를 원칙으로 전면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번째로 그는 도유림이 국립공원에 편입되면서 도유림 내부 사유지까지 동일한 규제를 적용받는 구조적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정 의원은 "도유림이 국립공원으로 묶이는 과정에서 사유지가 끼워 넣기식으로 함께 지정됐다"며 "해당 주민들은 집도 못 짓고, 개발도 못 하고, 재산 가치도 크게 떨어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유림에 대한 규제는 필요하지만, 사유지는 제척해 정상적인 재산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충남도와 환경부 간 신속한 협의를 요구했다.
정 의원은 안면도 관광 활성화를 위한 '모노레일 설치'의 필요성도 재차 언급했다. 그는 용역 결과에서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에 대해 "안면도 개발이 30년째 멈춰 있는 이유도 수익성 중심 사고 때문"이라며 "대기업도 수익성이 없어 참여하지 않는 사업을 공공이 똑같이 수익성만 따진다면 영원히 추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내년 열리는 '2026 국제치유박람회'를 앞두고 안면도 지방정원과 수목원을 연결하는 교통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며 충남도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정 의원은 "재선충 방제, 국립공원 제척 문제, 관광 인프라 조성은 모두 도민의 삶과 재산, 지역경제와 직결된 핵심 현안"이라며 "충남도는 보다 실질적이고 실행력 있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