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10·15 대책 이후 경기 지역 청약 경쟁률은 평균 2.99대 1에 그쳤다. 올해 경기도 전체 평균 청약 경쟁률(4.13대 1)을 감안, 규제 발표 이후 매수 심리 위축에 따라 청약 참여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LTV·DSR 강화 등 대출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고, 그 여파가 청약 시장에도 직격탄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10·15 대책 이후 중도금과 잔금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실수요자 부담이 늘었고, 특히 중대형 평형은 대출 한도 축소로 청약 심리가 더 위축됐다"라며 "고금리 장기화 우려로 관망세가 확산되며 당장 청약에 나서기보단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분위기가 뚜렷해졌다"라고 바라봤다.
최근 발표된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에도 불구하고 보유세 부담이 커진다는 점도 시장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일부 지역의 경우 내년 재산세·종부세 상승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주택 보유 자체에 대한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연유 탓인지 "지금은 매수보다 안정적 거주가 우선"이라는 실리형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전세 시장도 녹록지 않다. 매물 부족 및 높은 전세가율 때문에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고, 갭투자 차단 정책 이후 전세 유동성마저 급감하면서 전세계약 자체가 '희소화'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즉 전세 시장 전반에서 실수요자 선택지가 급격히 좁아지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결국 임대주택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11월 청약을 받은 공공지원 민간임대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더 스마트'는 모집 가구 약 6배에 달하는 신청이 몰렸다.
전체 552세대 모집에 3297건이 접수되며 평균 경쟁률 5.97대 1을 기록했다. 전용 84㎡S-1의 경우 최고 16대 1에 달했다. 안정적 임대조건 외에도 '완성형 신도시' 입지와 합리적 조건, 일반분양 수준 상품성까지 갖춰 경쟁률이 높았다는 평가다.
비슷한 시기에 청약을 진행한 민간임대 '북수원자이렉스비아' 역시 △모집 40가구 △접수 142건으로, 경쟁률 3.55대 1을 보였다. 규제 부담 없이 장기 거주가 가능하고, 초기 비용부담도 낮아 실수요자의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른 것이다.

나아가 정부는 무주택 서민 주거안정 및 내 집 마련을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를 통해 올 11~12월 분양주택 7000호를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실제 5일 기준 모집공고를 살펴보면 '남양주가운2' 국민임대예비입주자 1, 2순위 신청이 19일 실시된다. 입주자격이 한층 완화된 '평택고덕LH2단지 행복주택'의 경우 19일까지 신청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이천부발 △파주 △시흥 △평택 △안성 국민임대주택 예비입주자 신청도 비슷한 시기에 진행된다.
한편 LH는 오는 12월 △남양주진접2지구 △과천주암 지구 △구리갈매역세권 지구 △김포 고촌2지구 △인천 영종지구 △화성동탄2지구(C-14블록) 등에서 3000여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