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김두완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1인 1표 전당원 투표’와 ‘권리당원 100% 예비경선’ 등 대대적 공천제도 개편 의지를 공식화했다.
정청래 대표는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고 강조하며 오는 19~20일 실시되는 전당원 투표를 통해 개혁공천을 제도적으로 확정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를 “당원주권 시대의 첫 시험대”로 규정하고 조직 재정비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정 대표는 이날 최고위 모두발언에서 “누구나 1인 1표를 행사해야 한다”며 “권리당원이 전면 참여하는 열린 공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예비후보 검증을 통과한 인사에게 경선 기회를 보장하고 △1차 조별 예비경선은 권리당원 100% △2차 본선은 권리당원 50%·일반국민 50% 선호투표로 치르는 방식을 도입한다. 광역·기초 비례대표도 100% 권리당원 투표로 선출해 기존 ‘대의원 중심 구조’를 완전히 해체한다는 방침이다.
정 대표는 “억울한 컷오프로 눈물 흘리는 시대는 끝났다”며 “국회의원이 당원 눈치를 보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를 당내 민주주의의 역사적 전환점으로 규정하고 동학농민혁명과 87년 민주항쟁 등 한국 민주주의 흐름과 연결 지으며 당원 참여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도 “6·3 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강한 후보를 만들겠다”며 공천 경쟁의 투명성과 확장성을 강조했다. 지도부는 이재명 정부의 외교·안보·통상 성과를 나열하며 중앙정부와 여당이 ‘국익 실용외교’라는 공통 프레임을 공유하고 있음을 부각했다.
전당원 투표로 공천 제도 변화가 확정될 경우 민주당은 6·3 지방선거에서 조직 동원 중심의 구태를 벗고 당심 중심의 경쟁 구도로 재편될 전망이다. 지도부는 “당원주권이 제도화되면 공천 잡음과 분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다만 공천 전면 개방이 예측 불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당내에서 적지 않다. 민주당은 당심의 확장성과 공천 경쟁력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지 시험대에 올랐다. 지방선거가 ‘당원주권 실험’의 첫 결과물이 되는 만큼 향후 정당 구조 개편의 분수령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