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SK텔레콤이 2026년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MNO(통신)’와 ‘AI’ 양대 CIC(사내회사) 체제를 본격 도입했다.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조직 전반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방점을 찍었다.
SK텔레콤은 13일 정재헌 CEO 주도로 2026년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MNO와 AI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 구조와 의사결정 체계를 갖춰, 사업 실행력을 높이려는 전략적 조치다.
MNO CIC(한명진 CIC장)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통신사업의 본원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마케팅은 상품·서비스와 영업 중심으로 재편하고, 엔터프라이즈(B2B) 부문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상품·솔루션 경쟁력을 높인다. 네트워크 조직은 인프라(Infra) 영역의 AT/DT 실행력을 강화해 본원적 경쟁력(O/I) 제고에 집중한다.
AI CIC(정석근·유경상 CIC장)는 실질적 사업 성과 창출을 위해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정예 조직으로 개편됐다. 사업 영역은 △‘에이닷’을 중심으로 한 B2C AI △인더스트리얼 AI·데이터플랫폼·AI 클라우드 등 B2B AI △메시징·인증·페이먼트 사업을 포함한 디지털플랫폼 △데이터센터 사업을 총괄하는 AI DC로 구분해 추진한다. 기술 부문은 플랫폼과 AI 모델 조직으로 이원화해 AI 경쟁력 확보와 사업 실행력을 동시에 강화한다.
SK텔레콤은 양대 CIC를 뒷받침할 스태프 조직도 전문화한다. 통합보안센터는 인력 확충과 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대외협력(CR)과 홍보(PR)를 통합한 Comm센터를 신설했다. 또 주요 경영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GC(General Counsel)센터와 전략 기능을 겸하는 Corporate센터(CFO)도 새롭게 구성했다.
이번 임원 인사는 책임경영 강화를 위한 리더십 개편에도 초점을 맞췄다. 실질적 책임과 역할 중심의 강소 인사 기조 아래, 실행력과 전문성을 갖춘 11명의 임원이 새로 선임됐다. SK텔레콤은 향후에도 전략 변화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조직의 유연성을 높일 계획이다.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MNO와 AI의 양대 축이 각자의 특성에 맞춘 속도감 있는 체계를 구축해 본격적인 성과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통신사업에서는 고객 신뢰 회복을, AI에서는 실질적 사업 성과를 달성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