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부산시가 17조 9330억 원 규모의 2026년 본예산안을 편성해 민선8기 시민 체감형 비전 완성에 나선다.
부산시는 11일 지난해 대비 7.5%(1조 2470억 원) 증가한 17조 9330억 원 규모의 ‘2026년 본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시는 경기 둔화와 세수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재정운용 기조 아래 민선8기 핵심 전략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을 확대했다. 관리채무비율은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예산은 민선8기 2대 도시목표인 ‘시민행복도시’와 ‘글로벌 허브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다함께 누리는 시민행복도시 △살고 싶은 미래형 매력도시 △글로벌 물류·거점도시 △글로벌 금융·창업도시 △글로벌 디지털·신산업도시 △글로벌 문화·관광도시 등 6개 분야에 중점을 두고 편성됐다.
가장 많은 8조 6031억 원이 편성된 시민행복도시 분야는 돌봄·복지·보건·안전이 중심이다. ‘부산 함께돌봄’ 사업 대상을 중위소득 100% 이하로 확대하고, 퇴원환자 안심돌봄·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등 맞춤형 복지체계를 강화한다.
또한 장애인 활동지원 단가 인상(1만 6620→1만 7270원), 특별교통수단 10대 증차, 신중년 일자리 확대(490→600명) 등 생애주기별 복지 기반을 강화한다. 아동 분야에서는 3~5세 무상보육을 추진하고, 외국 국적 유아에도 월 10만원의 보육료를 신규 지원한다.
공공의료·시민안전도시 부문은 부산의료원 호흡기센터와 어린이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노후 공동주택 1000세대에 화재 예방용 ‘아크차단기’를 설치해 생활안전을 강화한다.
미래형 매력도시 분야(1조 4875억 원)는 15분도시 확산, 교통 인프라 개선, 저탄소 녹색도시 구축에 집중한다. 15분 생활권 확충사업, 삼락·화명 생태공원 야간경관 조성, 이기대 아트파빌리온 설치 등으로 도시경관 경쟁력을 높인다.
물류·거점도시 부문(4407억 원)은 가덕도신공항 보상과 북항재개발 기반시설 조성, 하단~녹산선 도시철도 착공으로 항만·공항·철도 트라이포트 연계 인프라를 구축한다.
금융·창업도시 분야(3427억 원)는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 부산’ 조성, 청년 주거·문화 지원사업 확대, ‘라이즈(RISE)’ 기반 지산학 협력체계 강화가 핵심이다.
디지털·신산업도시(5025억 원)는 동백전 1조2000억원 발행,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전력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등 민생·혁신기반을 병행 추진한다.
문화·관광도시(5879억 원)는 오페라하우스 건립, 시립미술관 리모델링,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벡스코 제3전시장 신축 등 글로벌 문화·마이스 도시 위상 강화를 목표로 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예산안은 민선8기 동안 추진해온 시정 변화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며 “시민과 함께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