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최근 KT(030200) 이사회가 부문장급 인사와 조직개편에 대한 승인권을 확보하면서 내부에서는 이사회 권한만 강화해 내부 카르텔 구축 논란을 일으킨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KT 이사회는 지난 4일 회의에서 대표이사가 부문장급 인사와 주요 조직개편 진행 시 이사회의 승인을 거치도록 이사회 규정을 개정했다.
이에 KT새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해킹 사태 수습과 낙하산 논란 없는 새 최고경영자(CEO) 선임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앞둔 KT 이사회가 반성과 책임 없이 오히려 이사회 규정 개정으로 권한만 강화해 내부 카르텔 구축 논란을 키우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부문장급 임원과 법무실장 직책은 현재까지도 정권 낙하산 논란의 핵심 지점"이라며 "대표적으로 △MB 특보 출신 임현규 부사장(경영지원부문장)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박근혜 특검에 참여했던 이용복 부사장(법무실장) 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새 CEO가 낙하산 인사를 정리하려 할 때 이사회가 이를 제어하거나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며 "이미 내부에서는 '알박기 인사' 논란이 나오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번 의결로 KT 경영권이 외풍에 흔들릴 수 있게 빗장이 열렸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외이사 비중이 높은 KT 이사회가 인사·조직 결정에 개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KT새노조는 "이사회는 이번 권한 강화에 대해 낙하산 방지와 투명한 인사 원칙을 공개적으로 약속해야 한다"며 "동시에 해킹 사태·구조조정·직원 사망 등으로 이어진 경영 실패에 대해 분명한 사과와 책임 있는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KT새노조는 김성철 사외이사의 사퇴를 요구했다.
KT새노조는 "김성철 전 이사회 의장은 해킹사태에 대한 이사회의 책임을 명분으로 의장직만 내려놓았을 뿐 여전히 사외이사로 남아 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차기 CEO 선임에 관여한다"며 "이는 사실상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사외이사 카르텔 문제는 이미 올해 김성철·김용헌·곽우영·이승훈 등 사외이사 4명이 이례적으로 일괄 재선임될 때부터 제기됐다"고 첨언했다.
끝으로 KT새노조는 KT 이사회에 △김성철 사외이사 사퇴를 포함한 경영 실패 책임 이행 △낙하산 인사 차단 및 투명한 절차에 따른 새 CEO 선임 △해킹 사태 수습 및 재발 방지, 책임자 처벌 명확화를 약속할 것을 요청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