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전주 김건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연대 도시 개최 전략’을 통해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전북도는 지난 6일 군산 새만금컨벤션에서 열린 올림픽 유치 추진상황 브리핑에서 “다른 지자체와 협력해 연대 도시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북도는 지난 2월 대한체육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진행된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도시 선정 투표에서 전체 61표 중 49표를 얻어 11표를 받은 서울을 제치고 국내 유치지로 선정됐다.
전북도가 추진 중인 핵심 전략은 ‘연대 도시 유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어젠다 2020' 발표를 통해 지속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강조하며, 신설 경기장 건설보다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전북도의 인프라만으로는 올림픽 개최가 쉽지 않지만, 타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대 도시 전략을 추진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전북도는 총 33개 종목이 열릴 경기장을 51개소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전주 도심권에 18개소, 새만금권에 10개소, 동부권에 4개소 등 전북 내에 32개소를 확보하고, 나머지 19개소는 연대 도시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전남,광주, 대구, 충북은 물론 서울 역시 연대 도시 후보 중 하나다. 전북도 올림픽유치위원회 관계자는 “서울시와 협의 중이며,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서울시가 관리 중인 경기장 사용 승인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도에 없는 국제 규격 경기장 중 일부는 서울에만 있다”며 “이들 시설을 중심으로 서울과 협의 중이며, 구체적인 논의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전북도는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전북현대의 홈구장인 전주월드컵경기장을 증축해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전주월드컵경기장 일대에 조성 중인 ‘전주 복합스포츠타운’에는 야구장, 육상경기장, 실내체육관, 국제수영장 등이 들어설 예정으로, 올림픽 유치에 성공할 경우 이 시설들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