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불법 현수막 실태를 지적한 광주MBC 보도에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이 "의원 개인의 일"이라며 공개 반박에 나섰다. 그러나 시민사회는 "언론보다 자신을 돌아보라"며, 상식적인 지적에도 발끈하는 시당의 태도를 조롱하고 있다.
광주MBC는 지난 4일 보도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소속 인사들의 불법 현수막 게시 실태를 집중적으로 고발했다.
양부남 광주시당위원장을 비롯해 시·구의원들이 법에서 정한 높이와 설치 위치를 무시한 채 현수막을 내걸었고, 일부는 횡단보도 주변 시야를 가려 보행자 안전까지 위협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양 위원장의 현수막조차 불법으로 판단돼 구청에 의해 하루 만에 철거됐다.
광주MBC의 상식적 지적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의 반응은 예상 밖이었다. 시당은 하루 만에 반박문을 내고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며 언론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현수막 게시의 책임은 의원 개인에게 있으며, 시당은 개입할 권한이 없다"는 해명과 함께 "광주MBC는 공정하고 균형 잡힌 보도를 해야 한다"는 구절까지 담았다.
특히 양부남 위원장은 광주MBC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불법 현수막은 구청이 단속하면 될 일"이라며 "시당 차원의 대처 계획은 현재도 없고 앞으로도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공영방송의 지적을 '공격'으로 받아들인 이 반응에 시민사회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불법을 저지른 쪽이 언론의 공정성을 운운한다니 '적반하장'"이라는 여론이 확산됐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소속 의원들과 예비후보들이 경쟁적으로 현수막을 내걸고 있는 상황에서, 시당이 "통제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상 불법 행위를 방관하겠다'는 선언으로 비쳤다. "단속은 구청, 책임은 개인, 대책은 없다"는 시당의 태도에 "그럼 시당은 왜 존재하냐"는 냉소가 쏟아진다.
정치권 안팎에서도 비판은 이어졌다. 한 지역 정치평론가는 "정당 지도부의 도덕적 책임이 실종됐다. "정치적 '후안무치'의 전형"이라며 "공공질서를 지적한 언론을 탓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를 부정하는 행태"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당위원장부터 불법 게시에 연루된 상황에서 '의원 개인의 일'이라며 빠져나가려는 건 스스로 리더십을 부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현수막 논란이 아니다. 민주당 광주시당이 얼마나 도덕적 감각과 공적 책임을 잃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불법 현수막보다 더 심각한 건, 이를 지적한 언론에 되레 화살을 돌리는 정치적 오만이다.
시민사회는 '민주당 소속 의원들과 입지자들의 불법 행위에 지도 책임을 보이라'며 시당의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광주시당은 반성과 개혁 대신 언론 탓에 몰두하며 현실 감각을 잃고 있다는 평가다.
결국 이번 사태는 민주당 광주시당이 스스로 '공당'이 아닌 '공감 잃은 집단'으로 전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언론의 비판 보도에 발끈하며 민심과 현실을 외면한 태도를 고수한다면, 불신과 비판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