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네이버가 기사 댓글을 이용한 여론 조작을 막기 위해 ‘좌표 찍기’ 의심 정황이 포착되면 댓글창을 자동으로 닫는 조치를 시행했다. 특정 댓글에 공감이나 비공감이 비정상적으로 몰릴 경우 전체 댓글 보기는 최신순만 가능하도록 바꿨다.
12일 네이버에 따르면 뉴스 서비스는 지난 4일부터 이용자 반응이 급증한 기사를 자동 감지해 댓글창을 비활성화하고 있다. 이용자가 다시 댓글 보기를 눌러도 공감순이나 공감비율순은 제공되지 않고, 최신순 정렬만 유지된다. 조직적 댓글 동원에 따른 왜곡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이려는 취지다.
네이버는 지난 4월부터 특정 댓글에 공감·비공감이 급증할 경우 안내 문구를 띄우는 ‘이용자 급증 감지 기능’을 운영해왔다. 이번 조치는 해당 기능의 실효성을 높이는 후속 대응으로, 안내에 그치던 단계에서 아예 댓글 노출 방식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강화됐다.
네이버 관계자는 “댓글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이라며 “앞으로도 건전한 댓글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기능을 지속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