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남도가 반도체 산업의 상생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충남 반도체 상생협의체'를 출범하고 본격 가동을 선언했다.
11일 아산 모나밸리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김태흠 충남지사와 지현기 삼성전자 부사장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상생협의체에는 충남도, 천안·아산시, 공주대 등 7개 교육기관, 충남테크노파크 등 9개 연구기관·단체, 삼성전자 등 61개 기업이 참여하며, △포럼 등 교류 협력 △수요 기반형 현장 기술·테스트베드 지원 △시제품 제작 및 사업화 △연구개발 기획 컨설팅 △전문인력 양성 △신규 반도체 학과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출범식에서는 하나은행, 농협은행, 케이앤투자파트너스, 그래비티벤처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반도체 투자 기업 지원과 유망 기업 발굴·투자 등 산·학·연·관 협력 기반을 강화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충남은 반도체 산업 기반 구축, 기업 지원, 인재 양성, 협의체 활성화 등 4대 축을 중심으로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며 "1조6000억원 규모의 천안 국가산업단지 조성, 1조3000억원 정책자금 지원, 5000억원 규모의 펀드 운영, 6000명 이상의 실무형 인력 양성을 통해 실효성 있는 산업 육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포럼에서는 서울대 김형준 명예교수가 '패키징 기술 동향 및 대한민국의 대응 전략'을, 우광제 코닝정밀 상무가 '첨단 패키징을 위한 유리 기술'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산학연 대표 6명이 참여한 패널 토론에서는 충남 반도체 후공정 생태계 조성과 지역 연계 전략이 논의됐다.
충남은 지난해 기준 도내 반도체 수출액 370억 달러로, 국내 수출액의 36.9%를 차지하며 전국 2위를 유지하고 있다. 도는 첨단 반도체 산업을 미래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조례와 세부 계획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