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인천까지 번졌다…수도권 전역 ‘불안 확산’

마이데일리
KT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서울 금천구와 경기 광명시에 이어 인천 부평구에서도 확인되면서 수도권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KT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KT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가 서울 금천구와 경기 광명시에 이어 인천 부평구에서도 확인되면서 수도권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통신망을 통한 대규모 보안 침해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용자 불안이 빠르게 확산하는 모습이다.

2일 새벽 인천 부평구에 사는 A씨는 카카오톡 계정 로그인 시도 알림과 함께 본인 확인 전화를 받았다. 곧이어 자신이 가입하지 않은 상품권 사이트에서 결제 문의를 남겼다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했다. 실제로 A씨 명의 휴대전화 소액결제 내역에는 50만원 상당 상품권 결제 시도가 기록됐고, 다른 사이트에서는 27만5000원이 빠져나간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A씨는 “새벽 시간대에 자고 있는 사이 결제가 진행됐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KT 피해는 지난주부터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를 중심으로 불거졌다. 이후 부천·과천·영등포 등으로 확산됐고, 이번에 인천까지 피해가 확인되면서 피해 지역은 수도권 전반으로 확대됐다. 경찰과 KT 집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광명 61건, 금천 13건, 부천 5건, 과천 5건, 영등포 1건 등 피해자는 80명 이상이며 피해액은 5000만원을 넘어선다.

이번 사건의 원인으로는 ‘유령 기지국’ 수법이 지목된다. 이는 통신사 관리망에 등록되지 않은 기지국 아이디를 활용해 인증 절차를 우회하는 방식이다. 실제 피해자들은 인증번호 입력이나 알림 메시지 없이 결제가 이뤄졌다고 증언했다.

다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직 확정된 사실은 아니다”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고, KT에 초소형 신규 기지국의 망 접속을 차단하도록 요청해 9일부터 실행에 들어갔다.

서울 시내의 한 KT 매장. /뉴시스

정부와 통신사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경찰과 함께 합동 조사단을 꾸려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KT는 이번 사안을 정보통신망법상 ‘사이버 침해’로 신고하고, 결제 한도를 기존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낮추는 한편 이상 거래 납부 차단, 24시간 전담 고객센터 운영, 비정상 결제 패턴 탐지 강화에 나섰다.

그러나 피해자들 사이에서는 대응이 늦고 근본적인 보안 대책이 부재하다는 불만이 나온다. 피해 경험을 공개한 한 이용자 역시 인증번호 없이 30만원대 피해를 입은 뒤 KT 고객센터에 문의했지만, 상담 과정에서 다른 서비스 가입 권유까지 받았다고 전하며 “보안 허점뿐 아니라 대응 태도에도 불신을 느꼈다”고 말했다.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사태가 단순 소액결제 피해에 그치지 않고, 신용카드 정보나 개인 계정 탈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사태가 확산되자 시민단체도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이날 성명을 내고 “KT 소액결제 피해 사태는 개별 소비자의 실수가 아닌 구조적 보안 실패”라며 “KT는 피해 현황과 원인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자진 신고를 통해 민관 합동 조사단이 서버 전수조사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KT는 지금 당장 소비자 피해에 대한 선제적 보상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에도 본인확인·소액결제 시스템 전반의 보안 점검과 제도 개선을 주문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KT 소액결제 피해, 인천까지 번졌다…수도권 전역 ‘불안 확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