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HL-GA) 건설 현장에서 체포된 300여 명의 한국인 직원들이 10일(현지시간) 귀국행 비행기에 오른다. 지난 4일 미국 이민 당국의 전격적인 압수 수색으로 포크스톤 시설에 구금된 지 엿새 만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HL-GA 직원들은 한국 시간 11일 오전 3시 30분(현지시간 10일 오후 2시 30분)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전세기를 타고 한국으로 복귀한다.
이들 직원은 현지 시간 조지아주 포크스톤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 시설에서 나와 공항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구금 시설에서 공항까지 거리는 약 428㎞, 차로 약 4시간 30분가량 소요된다.
당초 귀국편은 구금 시설에서 차로 약 50분 거리인 플로리다주 잭슨빌 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방안이 검토됐으나, 대형기 이착륙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면서 애틀랜타 공항으로 최종 확정됐다.
전세기는 368석 규모의 B747-8i 기종으로, 대한항공이 지원했다. 전세기는 이날 오전 10시께 인천공항을 이륙해 미국 애틀랜타 공항으로 출발했다. 대한항공은 승무원 탑승 외 승객을 태우지 않고 출발하는 페리 운행을 실시했다.
전세기 왕복 운항 비용은 10억원 안팎으로 예상되며 이는 LG에너지솔루션 측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구금된 직원들 대부분이 LG에너지솔루션 소속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최근 성명을 내고 "구금된 인원 중 현대차 직접 고용 직원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다수가 자진출국 형태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원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세기에는 현지 공장에서 한국인들과 함께 구금된 일부 외국 국적자들도 함께 탑승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미국 이민세관집행국(ICE)은 지난 4일 HL-GA 건설 현장을 급습해 불법체류 혐의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을 체포·구금했다. 체류 목적에 맞지 않는 비자를 소지했다는 이유였다. 이들 직원 중 LG에너지솔루션 소속 직원은 47명, 설비 협력사 인력이 250여명으로 파악됐다.
이에 한국 정부는 한국인들이 현지에서 사법 처리되지 않는 조건 하에 석방 직후 자진 출국하는 형식의 세부 협의를 진행했다. 추방 처리될 경우 수년간 입국 금지나 비자 심사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서다.
재계 안팎에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속에 상시적으로 불거질 수 있는 구조적 위험으로 본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회, 재계가 모두 머리를 맞대고 제도 개선과 안전망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