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T새노조는 최근 발생한 KT(030200) 소액결제 해킹 사고에 대해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9일 논평을 내고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지만,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다. 통신 3사 중 유독 KT에서, 그것도 특정 지역 가입자를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은 KT 보안 체계의 심각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통신사의 기본 책무를 방기한 명백한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KT는 반복되는 보안 사고와 인프라 관리 실패로 국민 피해를 방치해 왔다"며 "정부와 KT는 독립적인 전문가 조사를 통해 이번 사태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피해자들에게 책임 있는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경기도 광명·서울 금천 지역 KT 이용자 휴대전화에서 소액결제로 돈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소액 결제 피해자는 74명, 피해액은 458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조는 "문제의 뿌리는 단순히 기술적 결함에 있지 않다"며 "김영섭 사장 체제에서 KT는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이라는 화려한 구호 뒤에 통신사의 본질적 책무인 인프라와 보안을 뒷전으로 밀어왔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 결과 인프라 인력 구조조정, 노동자 사망사고, 이번 해킹 사태까지 연달아 발생하며 국민과 노동자 모두를 위협하고 있다"며 "이는 구조적인 무책임 경영의 필연적 결과이며,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노조는 "김영섭 사장은 국민 앞에 무너진 보안과 반복된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며 "통신 기본 책무조차 다하지 못한 최고경영자가 자리를 지키는 한, KT의 위기는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국민 안전과 노동자의 생명을 희생시키면서까지 추진하는 AI 중심 경영은 허상일 뿐"이라며 "지금 KT에 필요한 것은 화려한 비전이 아니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와 안전한 노동환경이다. 김영섭 사장의 사퇴와 근본적인 경영 쇄신만이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최소한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