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급증하고 있지만, 면세점 업황은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면세점협회와 면세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면세점 매출액은 9199억4652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1조65억268만원보다 8.6%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면세점 구매 인원은 236만3113명에서 258만339명으로 9.2% 늘었다.
매출액을 구매 인원수로 나눈 1인당 구매액은 35만6000원으로 지난해 42만6000원 대비 16.4% 감소했다.
‘다이궁(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높았던 2021년 1인당 구매액은 263만4000원에 달했지만, 2022년 164만5000원, 2023년 62만3000원 급락해 지난해에는 50만원 수준까지 떨어졌다. 올해 1~7월에는 43만4000원이다.
외국인 관광객 수는 계속 늘고 있지만 구매액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7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23.1% 늘었고, 면세점에서 실제 구매한 외국인 수도 25.1% 증가했다. 그러나 구매액은 14.2% 감소했으며, 6월과 비교해도 구매 인원은 2.2% 늘었지만 구매액은 22.1% 줄었다.
면세업계에서는 관광객의 소비 패턴 변화를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명동 등 주요 쇼핑 지역의 올리브영, 무신사 등 매장은 외국인 관광객 대상 체험존 운영과 간편 결제 서비스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면세점은 상대적으로 한정된 공간과 상품 구성으로 소비자의 체험 욕구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실제 올해 2분기 신라·신세계면세점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했지만, 올리브영과 무신사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싣는다.
업계 관계자는 “면세점은 단순 구매 공간을 넘어 체험형·일상형 공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K-콘텐츠와 관광 인프라를 연계한 마케팅 강화가 향후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위기의식은 임대료 갈등에서도 나타난다. 신라·신세계면세점은 면세 업황 악화를 이유로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임대료 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만, 공사 측은 협의에 응하지 않고 있다. 법원 조정도 결렬돼 두 면세점이 인천공항에서 철수할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