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심재희 기자] (사)한국골프장경영협회(회장 최동호)가 21일 경기도 분당 협회 회의실에서 '골프장 운영제도 개선위원회' 회의를 열었다. 요금체계·예약제도·세제·인력난 등 골프장 운영 전반에 걸친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최동호 회장을 비롯해 8개 지역협의회의 회원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현행 제도의 미비점을 짚고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먼저 그린피와 카트비의 통합 요금제와 관련해 짚었다. 업계는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자칫 요금 인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개별 골프장의 자율 운영을 존중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예약 취소 및 위약금 제도에 대해서는 '우천·낙뢰 등 불가피한 기상 상황일 경우 취소를 허용한다'는 원칙에 모두 동의했다. 위약금 부과 기준은 기존보다 강화해 '7일 전 취소'로 조정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또한 일부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예약 대행업체 일괄 매각 문제가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약자 및 동반자 실명 확인 절차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업계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음식물 반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물·음료 등 공산품은 허용하고, 식중독 위험이 있는 조리식품은 반입 자제를 권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식음료 가격에 대한 불만에 대해서는 골프장 특유의 인건비·관리비 등 구조적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제 분야에서는 재산세 감면과 투자세액공제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카트보관소, 직원 기숙사 등 복리시설은 세제 혜택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세무 기준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심각한 인력난 문제도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현행 H-2 비자 외에 E-9 비자까지 외국인 근로자 고용을 확대하고 직무별 안전·언어 교육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관계 부처에 건의하기로 했다.
끝으로 규제 체계·표준약관 관련 논의에서 기존 골프장 3분류 체계에서 2분류로 단순화하고 각 골프장의 지역별 특수성과 운영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표준약관 자율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모두 동의했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 최동호 회장은 "골프산업은 500만 명 이상이 즐기는 생활 스포츠이자 관광·서비스 산업의 중요한 한 축이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정부와 관계 기관에 적극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